회원 및 비회원 모두 열람이 가능합니다. 최대 업로드 가능한 용량은 20MB 입니다.

UVC 를 지원하는 Host에 UVC client를 지원하는 tartget 보드를 연결하여

JPEG 이미지를 Bulk 모드로 전송하고자 합니다.

target보드는 webcam이 아니고 일반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보드입니다.

그래서, 카메라 드라이버를 구현하고, UVC client 를 포팅하여 host에서 인식을 되었습니다.

그런데, UVC를 보다 자세히 들여다 보니

단순하게 JPEG 이미지 Bulk 전송을 위해 UVC를 사용하는 것이 overhead가 많은 것 같고

단순히 그 용도로 UVC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UVC를 선택한 이유는 Host쪽에서의 최소 수정을 위해서 입니다.

즉, V4L2로 연결시키기 위해서이며, UVC Host를 그대로 이용할 목적이었습니다.

 

근데, 하면 할 수록 선택의 의문이 듭니다.

 

1> JPEG Image Bulk 전송을 위해 UVC를 이용하는 방법이 맞는지요

    (가능한 한 V4L2를 이용하고자 합니다)

 

2> 다른 좋은 대안이 없을 까요?

  

고수님들의 좋은 조언을 기대합니다.

 

 


howwow20

2010.09.19 20:18:13
*.49.29.2

UVC를 사용해서 JPEG 이미지를 Bulk 또는 Isochronous로 전송 가능합니다. 그리고 UVC를 사용하는 경우 PC에서 드라이버 설치 없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강

2010.09.20 23:00:35
*.94.41.89

감사합니다.

UVC Device 에서 Enmeration 관련 descriptor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제가 구현하는 device는 camera의 full 을 host에서 알 필요가 없이 단지, device에서 jpeg 이미지만 전송하는 구조입닏.

따라서, 이경우 descriptor중에 class-specific 관련 descriptor가 반드시 필요한 가요?

저는 video control과 streming 관련 standard descriptor만 구현한 상태입니다.

물론, 정상적으로 host에서 deivce는 인식이 되었습니다만, PC에서는 관련 driver를 찾아 설치하는 데 없다고

합니다. specific camera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howwow20

2010.09.21 00:31:36
*.49.29.2

제가 구현하는 device는 camera의 full 을 host에서 알 필요가 없이 단지, device에서 jpeg 이미지만 전송하는 구조입닏.


-> 위의 말이 어떤 뜻인지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 Jpeg이미지만 전송하더라도 UVC device로 동작하려면 모든 구성요소(디스크립터)를 갖추어야 합니다. 물론 jpeg 전송에 맞는 class-specific descriptor가 필요합니다. 디스크립터를 YUV422로 설정하고 데이터는 Jpeg을 전송하고 호스트에서 Jpeg을 전송받는 것은 가능합니다. 다만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메신저 같은 프로그램에서 영상 출력이 안 됩니다.(메신저는 JPEG이 YUV422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새강

2010.09.21 02:52:53
*.94.41.89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이제야 조금 감(?) 오는 것 같습니다.

이쪽 부분의 경험이 이번이 처음이라 어렵네요...

 

제가 UVC Device단에 구현한 것은 "descriptor hierachy" 에서

IAP I/F -> VideoContro I/F -> class-specific VC I/F 밑단에 camera IT, Selector Unit, USB Out OT 등의 descriptor

등을 정의 하지 않았고, VideoStreaming I/F 밑단의 class-specific Headr.Format,Frame,Still Image 등의 descriptor등은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device단의 상태정보등의 host로 알려줄 일이 없고 Host에서 device의 camera등의 속성 정보를 알 필요가 없어 간단하게 설정하는 부분을 구현하였습니다. JPEG 이미지 전송만 필요해서요...

(Endpoint descriptor는 설정하였습니다.)

제가 이 부분이 좀 혼동이 갑니다. (처음 접하는 부분이라). "JPEG만 전송하려고 한다고 해도 UVC standard에서 요구하는 모든 구성요소(디스크립터)를 갖춰야 하는 걸까?  " 입니다.

그렇다면, VideoControl I/F 는 제가 구현하는 target이 Host로 부터 명령같은 정보를 받을 일이 없습니다.

따라서, VideoStream I/F 구성요소만 모두 필요한가 입니다.

 

그럼...

 

howwow20

2010.09.21 05:02:41
*.49.29.2

uvc spec을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앞에서 설명하신 웬만한 것들은 다 포함되어야 됩니다. JPEG만 전송해도 예를 들어 해상도는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밝기, 휘도 등등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설정하지 않는다고 디스크립터에 표시해야 합니다.

요컨대, Host로부터 명령 같은 정보를 받을 일이 없어도 위에서 나열한 디스크립터를 대부분 포함해야 합니다.

새강

2010.09.21 07:08:30
*.137.140.77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UVC Spec을 보고 있습니다만,  경헙이 없다보니 구현하고자 하니 좀 어렵습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추석 보내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육 홍보 및 광고는 "교육 및 세미나 홍보" 게시판을 이용해 ... 관리자 2010-07-15 108051
1370 MP2530F wince5.0 BSP 구할 수 있을까요... [2] 사막잡귀야훼 2010-10-13 2507
1369 [오드로이드-T] 임의의 프로그램을 shell에서 실행이 안됩니다.... [12] 새강 2010-10-13 4010
1368 [문의]C100 삼성칩에서 멀티미디어 가속기 사용방법?? [1] 멀미통 2010-10-07 2758
1367 ODROID-T 를 사용하다가 2개월전부터 전원 아답타가 죽었습니... [3] 치르르 2010-10-06 2399
1366 S5PV210 CPU를 사용하여 PCB Artwok kims 2010-10-06 2775
1365 오드로이드로 점심에 피자 시켜드세요.. ㅎㅎ file [3] 김장균 2010-10-05 3947
1364 이젠 이솝도 모바일웹 지원해주네요 [5] 도찬구 2010-10-05 2646
1363 이번주부터 공제보드 발송되는 건가요? [1] just4you 2010-10-04 2445
1362 hope for your help Very much !!!!! [6] sand 2010-10-01 2647
1361 풍성한 한가위되시길... [2] 이제현 2010-09-20 2884
» UVC device 를 이용하여 JPEG 이미지 Bulk 모드 전송이 가능... [6] 새강 2010-09-18 4602
1359 ODROID-T debug 보드 사망--다른 방법 또는 교체가 가능한가요... [2] 새강 2010-09-18 3872
1358 [수정] 올려주신 모듈들로 삽질을 조금 해봤습니다. [8] Liliniser 2010-09-15 6659
1357 안드로이드 부팅 시간이 1초 라는 동영상입니다 [4] 시안 2010-09-10 5019
1356 AESOP V210 신청현황 - 9월 9일 오전 기준. 유형목 2010-09-09 3559
1355 VMWARE와 USB Ethernet 연결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종민이아빠 2010-09-09 3875
1354 s3c6410 LCD 연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6] waterloo 2010-09-09 4327
1353 이솝 S5PV210 공동제작 보드 안드로이드 Froyo 동작 사진 file [7] JhoonKim 2010-09-09 4716
1352 S5PV210 CPU module만 2개 더 추가구매 [1] 노에러 2010-09-08 4082
1351 삼성 Cortex-A9 Dual core 발표 [9] 이제현 2010-09-08 6627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