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Android기반 BSP는 기본적으로 정전식 touch screen을 지원합니다.

그런데, H/W(=touch screen module)을 감압식 touch screen으로 개발하려고 합니다.

(고객의 SPEC이라서 변경이 불가능 합니다.)

 

이 때, 아래의 경우 중 어떤 경우가 맞습니까 ?

(답변이 복수일 경우에 복수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경우1: "감압식인가 ? 정전식인가?"의 결정을 processor chip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어떤 processor은 감압식을 지원하지만, 어떤 processor은 감압식을 지원하지 않음. )

 

- 경우2: android framework내에서 정전식(=default)에서 감압식으로 적절히 포팅(수정)하면 동작 가능함.

 

- 경우3: linux driver에서 정전식(=default)에서 감압식으로 적절히 포팅(수정)하면 동작 가능함.

 

만약, 위에서 경우2,3가 맞다면, source에서 수정해야 하는 point를 아신다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도리

2015.07.19 08:44:14
*.200.239.210

1. 감압식의 처리는 두가지 방식으로 합니다..........대부분...^^

1> cpu의 adc pin사용

2> 감압식전용 칩을 사용합니다. ex> ak4187 or TI의 몇몇칩

3> cpu에서 지원하느냐는 adc pin이 4개 정도는 있어야 합니다.


2. 일단, 1번이 충족된 후

kernel driver와 android framework을 적절히 고치면 가능함.


3. 2번에 답이 있음...


2/3의 경우 구현하는 방법이 굉장히 여러가지입니다.

즉, case by case의 구현이 대부분입니다.


이유는 touch calibration이 필요하기 때문에 calibration application을 어떻게

구성할거냐에 따라 서로 구현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유는 calibration.에는 display routine이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참, hardware의 구성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이동희

2015.07.21 01:40:42
*.90.129.146

1. Processor에 의해 반드시 결정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설사 감압식 Touch port가 있어도 별도 IC를 사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요즘 감압식 Touch IC의 경우 I2C로 interface되기 때문에 정전식(대부분 I2C Interface)과 동일한 H/W Interface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2. 감압식과 정전식의 또 다른 차이점 : 감압식은 대부분 Multi point를 지원하지 않습니다.(지원하는 touch-ic로 있지만) Android 기반으로 Touch-Action을 감압식으로 구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고민을 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3. 고도리님께서 말씀하신 감압식은 calibration이 필요하고 정전식은 calibration이 필요 없습니다. calibration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 Touch screen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2] 아이탱 2015-07-18 290
6287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 녹음과 음악 play를 동시에 하기. [3] 김민욱 2017-07-12 299
6286 Exynos7420으로 binary 다운로드 하고 있는데요... [4] 김민욱 2016-11-10 304
6285 Exynos4412를 watchdong timer를 이용해서 reset을 했습니다. [3] 혜민아빠 2015-03-06 307
6284 WIFI 인증 테스트 문제 [1] kangb 2021-12-02 307
6283 안드로이드 보드 hdmi 출력 어떻게 화인 하면 될까요.? [1] 새삶 2015-08-05 308
6282 [i.MX6 개발 Reference BD구하려고 하던중,..] 밥줘잉 2015-09-23 311
6281 안드로이드 i2c 관한 질문 [1] 뿌삐뿌삐 2015-02-03 314
6280 qt가 directFB를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2] 김아무개 2015-05-08 314
6279 리눅스 루트 파일 시스템 질문드립니다. [1] 하하호호하하 2015-06-17 315
6278 루트파일시스템에 gcc 기능을 넣어보신분 계신가요? [1] 흰둥아놀자 2015-01-09 315
6277 DAC 칩을 임의로 제거 하여도 문제가 없을까요? file [4] 겟페우스 2016-11-02 316
6276 IEI WAFER-LX800이나 LX2보드에 WinCE 한글5.0 포팅 가능하신분... [5] neontis 2017-02-11 317
6275 안드로이드 보드 해상도 문의 드립니다. [2] 새삶 2015-07-16 319
6274 작업 규모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1] 더미원 2017-02-15 319
6273 일반 스마트폰에는 uvc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건가요? [2] pedor11 2016-01-20 321
6272 특정 process(mplayer)가 4개의 cpu 중에 1나의 점유율을 100%가져갈... [1] 혜민아빠 2015-08-27 321
6271 커널 로고화면 변경시 제한된 사이즈가 있나요? [2] DavidKim 2016-04-27 323
6270 android bluedroid 에서 sco over hci 가 안되죠? [3] 쾌도난마 2017-07-01 323
6269 yaffs2 filesystem 마운트 후 Kernel panic 관련 질문입니다. [6] SpecialCase 2016-08-22 328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