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얼마전 질문을 올렸었는데요


하드웨어적으로 usb패킷을 분석하는 기기가 있어서 테스트해봤는데

응답이 느린 폰에서는 4초 간격으로 IN 토큰을 보내더라구요.

응답이 빠른 폰에서는 0.5초마다 보내구요.


그러다가 USB 스펙문서에서 bInterval 값에 대한 설명을 봤는데

2^(bInterval-1) microframe(125us)단위로 폴링인터벌이 정해지더라구요.

그동안 이걸 아무생각 없이 ms 단위인줄로 착각하고 있었네요...ㅠㅠ


bInterval 값이 16이었고

계산해보니 약 4초로 결국엔 응답이 빠른 폰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결론이 나오더라구요.


어떤 안드로이드폰에서는 약 0.5초 간격으로 패킷을 보내는걸 봐서는

OS마다 리미트값이 있는것 같아요. bInterval이 13이면 그 정도로 반응하는게 맞는것 같네요. 


libusb를 다른 우분트 컴퓨터에 설치해서 테스트해보니 1초 간격이 나왔구요. 


그렇다면 리눅스 소스 중에서  Endpoint descriptor를 확인하고 polling interval을 결정해서

주기마다 신호를 보내는 부분은 어디이고 그 polling interval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그리고 혹시라도 바꾸는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Jazzguitar

2017.11.08 23:08:36
*.122.242.77

오래된 글인데 리플이 없어서 정보 공유차원에서 남깁니다.


polling interval 값은 해당 device driver 에서 설정합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죠. Interrupt IN 1개와 Bulk In/OUT endpoint 를 갖는 cdc-acm(window장치에서 모뎀장치 생각하시면 됩니다.) 장치가 있다고 생각해 보죠.


http://elixir.free-electrons.com/linux/latest/source/drivers/usb/class/cdc-acm.c#L1417

여기서 interval값을 가져오고, 


http://elixir.free-electrons.com/linux/latest/source/drivers/usb/class/cdc-acm.c#L1461


static inline void usb_fill_int_urb(struct urb *urb,

    struct usb_device *dev,

    unsigned int pipe,

    void *transfer_buffer,

    int buffer_length,

    usb_complete_t complete_fn,

    void *context,

    int interval)

device쪽에서 endpoint descriptor에 넣어서 host로 전달하는 값이기 때문에 변경하고 싶다면 device단에서 변경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348 on cell 형 multi touch panel 사용법? [1] 문종섭 2016-09-29 204
6347 [요청] 이솝따라하기 편 닉슨클라우드 2017-01-11 206
6346 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Web Server에 대한 질문 [2] SpecialCase 2019-03-28 207
6345 /dev/mmcblk0rpmb가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혜민아빠 2015-11-19 208
6344 CodeSourcery에 보면arm-none-linux-gnueabi 라이브러리가 세폴더로 ... biokk 2015-03-05 208
6343 Touch screen에 관해서… [1] 어떤이의꿈 2015-08-10 209
6342 PWM Timer2 Prescaler값 변경시 시스템 시간 지연 문제? [3] 루벤94 2015-10-06 209
6341 안드로이드 버튼입력 지연 [2] 아라라라기 2015-12-15 211
6340 임베디드제품에 안드로이드 앱의 install이 가능한가요 ? [3] 김진희 2015-07-24 214
6339 [debian vs ubuntu] [1] 밥줘잉 2016-11-10 215
» 리눅스에서 인터럽트 트랜스퍼의 폴링인터벌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1] 아라라라기 2015-12-26 218
6337 ARM Ubuntu에서 touchscreen 설정 블루스카이 2016-07-04 219
6336 혹시 RouteTable 정보 읽을 수 있는 분 있나요? file [3] 엘카 2016-04-29 224
6335 Linux booting message관련해서... [3] 박종석 2016-08-30 228
6334 안전모드 진입 [1] 하하호호하하 2021-01-29 228
6333 [안드로이드 서비스 실행관련] [1] 밥줘잉 2015-10-09 230
6332 안드로이드 소스를 빌드 하였는데, img 파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4] 겟페우스 2016-10-15 233
6331 S5PV210 에서 Overlay Layer적용 [1] jameskody 2015-04-03 233
6330 네비바 삭제 질문드립니다. 하하호호하하 2015-03-17 233
6329 kernel booting시 다운현상 문의 [6] 수위타자 2015-07-24 234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