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인터넷이 안되는 환경에서 시간을 초까지 정확히 맞춘뒤에

추후 확인을 하면 한 2시간에 1초정도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루면 대략 10초가 넘고 6일이 지나면 1분이 빨라지고 한달 일년이 지나면..ㅠㅠ

이런경우 어디서 해결을 하면 쉽게 해결을 할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인터넷만 되면 동기화 시키면 될텐데...

환경이 인터넷이 안되는 별개의 환경에서 사용을 해야 하는데..

기준점이 없다보니... 문제가 되네요;

한번 셋팅을 하면 쭉......정확해야 하는데...


이제현

2008.06.10 20:36:04
*.41.109.34

RTC의 기준 시간은 32.768Khz라는 크리스털이 만들어 내죠..
그런데, 이 크리스털은 온도에 민감합니다.
보통 온도계수 100ppm짤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런 경우 월 5분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0ppm짜리를 사용하면 2~3분 정도가 될것이고요.
그런데, 1년을 놓고 보면 여름에 빨리가고, 겨울에 천천히 가면
연간 총 누적 오차 또한 10분 이내가 됩니다.

어느 정도 정확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또한 실내 전용 기기인지, 야외에도 설치되는 기기인지에 따라 달라지고요.
연간 오차를 1분 이내로 하고 싶다면, TCXO(온도 보상 기능 내장)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PCB 레이아웃 설계도 잘 하셔야 하고요.

재료비에 좀 더 여유가 있다면, TCXO가 내장된 RTC 칩을 따로 사용하시면
가장 좋습니다. 보드 설계에 대한 부담도 줄어 들고요.
인터페이스는 I2C나 SPI가 가능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1000개일때 3천원 정도 하는 제품들을 찾아 볼수 있습니다.

그 이상의 정확도가 필요하다면, 우라늄 원자 시계가 필요할수도.. ㅎㅎ

김광준

2008.06.10 21:11:14
*.94.41.89

OCXO라는 것도 있는데 -20~70도 범위에서 1ppb 수준이라고 합니다.

김영수

2008.06.12 01:12:36
*.88.248.203

음 외부 RTC에서 시간 읽어 오는 것을 말하시는건가요?
아니면 리눅스의 그냥 시간을 말하는 것인가요?
예전에 Timer 셋팅이 잘못되어
RTC로 부터 5분단위로 리눅스 시간과 동기화 한적 있습니다.
무식한 방법이죠...ㅋㅋ
RTC는 초기 부팅시 한번만 사용하고 나머진 linux time에 의존 하셔야...
되지 않을 까요...
뭐.. 근본적으로 timer설정을 정확히 하시던지 아니면..
linux의 시간을 조절 하시면 됩니다.
리눅스 명령어 중에 abjust? adjust가 하는 명령이 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참고로 리눅스 api도 위의 함수가 있습니다.
이것을 사용하여 시간이 늘어지게도 빠르게도 하게 할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8 mtdblock 질문이;; [4] 이지은 2008-06-18 1943
1627 [질문]레지스트 변경시 문제가...[완료] [5] 윤창준 2008-06-18 608
1626 qtopia 다운로드가 안되요... [1] 이용규 2008-06-17 677
1625 rebis board ramdisk 64MB 가능? [3] 정재용 2008-06-16 658
1624 usb slave 통신 관해 질문드려요. [4] 이지은 2008-06-15 750
1623 [질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ioctl [1] 홍춘식 2008-06-14 840
1622 타겟보드간 ping테스트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정재용 2008-06-12 988
1621 usb장치를 그냥 뽑았을때의 커널 처리과정 질문 [3] 정재용 2008-06-12 1078
1620 [완료] ARM vector에 관한 질문입니다. [4] 강성곤 2008-06-12 711
1619 NAND 2Gbyte 사용상의 문제 [4] 임의석 2008-06-11 981
1618 2.6.17커널 USB자동 인식 질문드립니다. [1] 정재용 2008-06-11 1022
» [질문]RTC 오차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3] 백승준 2008-06-10 2679
1616 UART에 관해서 문의드립니다. [1] 김경식 2008-06-10 752
1615 wince 빌드 에러 [1] 홍성관 2008-06-10 1186
1614 s3c2440 커널 2.6.x USB hotplugging [1] 정재용 2008-06-08 1599
1613 Aesop보드의 Flash를 Large Block Flash 사용하기 문의 [1] yjsk2001 2008-06-03 549
1612 aesop2440a 3차보드용 WinCE BSP를 1차 보드에도 적용 가능한가요... [1] 홍성관 2008-06-03 666
1611 sshd 설정 [3] 이학남 2008-06-02 678
1610 2.4 커널에서 256M NAND Flash관련한 질문입니다. [1] 박선종 2008-05-30 735
1609 커널 2.6.x 에서ide 인식문제 #2 [2] 정재용 2008-05-28 774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