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또 질문하게 되네요...
알려주신 방법으로 window ce 인스톨하고 bsp까지 컴파일 했습니다...
또한 MES DNW를 통해서 부트로더를 타켓에 download 했습니다.

타켓보드를 전원을 인가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Microsoft Windows CE Ethernet Bootloader Common Library Version 1.1 Built Nov 20 2007 12:15:38
INFO:OALLogSetZones: g_oalLogMask: 0x8000000f
++ OEMPlatformInit.
+ReadBootConfig

BSP Version: 1.1.2

AESOP MP2530 Boot Loader Configuration

IP: 192.168.0.123, Subnet mask: 255.255.255.0
LAN91C111 MAC address: 22:33:44:55:66:E5, DHCP: Disabled
Write to NAND: Disabled, Reserved Image Area: 32 MB
Auto Boot: Download, Download Through Ethernet

Press [ENTER] to download now or [SPACE] to cancel.

Initiating image download in 212 seconds.
이 메시지는 처음 부터 이렇게 나온것은 아닙니다...
[SPACE] 선택하여 IP ,Subnet mask,LAN91C111 MAC address,DHCP,Write to NAND..
등등 값을 설정후 저장한후에 다시 동작시켰을때 이렇게 표시 되었습니다.

[ENTER] 선택하면
Starting auto-download ...
+InitEthDevice.
INFO : Ethernet : VA[b0300300], PA[85000300]
LAN91Cxxx: Chip Id 9 Revision 1
Before CleanUp
-InitEthDevice.
-- OEMPlatformInit.
System ready!
Preparing for download...
++ OEMPreDownload
+OALKitlCreateName('MP2530F', 0xc203c, 0x000c2014)
-OALKitlCreateName(pBuffer = 'MP2530F56746')
INFO: *** Device Name 'MP2530F56746' ***
INFO: Using static IP address 192.168.0.123.
INFO: Using subnet mask 255.255.255.0.
+EbootSendBootmeAndWaitForTftp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이와같이 표시 됩니다...

제 컴퓨터의 IP: 192.168.0.3 Subnet 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0.1입니다.

window ce에서 Target 메뉴에서 “Connectivity Options…”를 선택하면
Target Device Connectivity Options 메뉴가 나오고 download에서 ethernet를 선택하고
setting를 선택하면
Ethernet Download Settings가 나오는데 사용자 설명서에는
Target device boot name:
dialoag box
IP address: 0.0.0.0
Boot loader: 0.0
Active target devices:
text box
TFTP bock size in bytes:
text box    Restore 버튼
Ok버튼 Cancel버튼
이렇게 표시 되어있느데요...

제것에서는 TFTP bock size in bytes:
text box    Restore 버튼 은 없습니다.
또한 Target device boot name의 dialog box에도 MAINSTN56746 또는 MP2530F56746이 표시
가 안되어서...혹시나 해서 직접 키보드로 입력해서 해봤지만 연결이 안됩니다.
그리고 Debugger에서 KdStub를 선택하면 setting이 비활성화 되고 밑에 (Prompt On Error)라고
표시 되지 않습니다.

계속해도 연결이 되지 않아서 도스 명령어로 타켓보드에 ping test를 했습니다...
ping 192.168.0.123 -t를 했는데...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CheckUDP: Not UDP (proto = 0x00000001)
Sent BOOTME to 255.255.255.255
!CheckUDP: Not UDP (proto = 0x00000001)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CheckUDP: Not UDP (proto = 0x00000001)
Sent BOOTME to 255.255.255.255
Sent BOOTME to 255.255.255.255
!CheckUDP: Not UDP (proto = 0x00000001)
Sent BOOTME to 255.255.255.255
중간중간에 !CheckUDP: Not UDP (proto = 0x00000001)
가 표시되는데...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고현철

2007.12.05 18:41:24
*.70.26.87

네트워크 설정 안하신거 아닌가요? 저도 이 메세지 나올경우는 네트워크 세팅을 해서 씁니다.

이헌상

2007.12.05 20:30:36
*.79.235.2

네트워크 설정은 window ce,타켓보드중에서 어디서 하는지 궁금합니다?

고현철

2007.12.05 22:05:10
*.70.26.87

22:33:44:55:66:E5 이렇게 mac을 주면 아마도 통신안될텐데요....

리눅스 u-boot와 같은 mac을 줘보시기 바랍니다.

한영민

2007.12.06 04:26:49
*.14.30.76

절차

mboot 이후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1. SPACE를 누르신 후.. 1) Ethernet Set 을 선택하십시오.
2. IP, Subnet Mask , MAC, DHCP 를 설정한 후
3. Save Config Data

D) Download Throught Ethernet <- 이렇게 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설정이 안되어 있을시에는.

mboot menu에서 Boot Config를 보시면 설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Auto Download Through : Ethernet...)

설정후에 저장하십시오.


그런후에 mboot menu에서 D)를 눌러 BOOTME가 나오는지 확인.

BOOTME가 나올때 Platform Builder에서 설정을 해줍니다.


1. Target 메뉴에서 “Connectivity Options…”를 선택
2. Target Device Connectivity Options 메뉴가 나오고
Download에서 ethernet를 선택하고 setting를 선택하면

Ethernet Download Settings가 나옵니다.

3. 여기서 Target과 정상적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반드시 Active Target Devices 부분에..

"MP2530F567xxx"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여기까지 되어야만 됩니다.
이것이 안나온다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연결이 안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타겟 보드의 문제입니다.


여기까지 나왔다면, 나온 "MP2530F567xxx" 를 클릭 합니다.
그러면,

IP address: 0.0.0.0
Boot loader: 0.0

이 부분이 님께서 설정한 IP로 바뀔것입니다.


[Apply] -> [Close] 하신 후에 연결 하시면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다운로딩 될 것입니다.


말로 설명하자니 참 기네요 ㅋㅋㅋㅋㅋㅋ..

이헌상

2007.12.07 07:36:30
*.100.176.43

답볍 감사합니다...
위에 설명되로 해봤는데요...
Sent BOOTME to 255.255.255.255 나올때 Download에서 ethernet를 선택하고 setting해도 Active Devices 부분에 아무것도 표시 안되는데요...

혹시 window ce 할때는 컴퓨터와 다이렉트로 크로스 랜 케이블을 꼭 써야하나요... 저는 유무선공유기를 이용해서 하고 있는데요...리눅스는 잘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혹시 테스트 성공하신 분들 ...설명 부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완료]Windows CE Platform Builder 5.0 설치 방법 [4]

nfs서버 질문입니다. [2]

SD/MMC mount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4]

window ce에서 이미지를 타켓보드에 download하는 방법 [5]

안녕하세요 첨 글올립니다. yaffs 올리려고 하는데 도무지 모르겠습니... [4]

[완료]SD card를 인식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2]

SD 카드 인식 관련. [3]

SD카드 인식관련 [6]

FW) Power Inductor 구할 수 있는 곳은? [1]

window ce 이미지 부팅 성공... [3]

ActiveSync/USB host 동작 관련 [5]

[완료]LCD - framebuffer 관련 질문 이요 ^^; [1]

[완료]window ce에서 test program 실행? [3]

Bios에 관해서... [4]

[완료] 삼성 NAND Flash 제어 질문입니다. ^^ [4]

[완료]yaffs2커널 패치 실행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함봐주세요 [6]

리눅스 2.4.20에서 DM9000B 문제 [5]

ezjtag-aesop-win -f 화일명 할때... crc에러 납니다.. [3]

Orcad 회로도 구할 수 없을까요? [3]

[해결]SD data read 문의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