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질문에 앞서서 제가 무엇을 하려는지 부터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제 전용 입력장치를 하나 만들어 보려고 생각 중 입니다.

생각하는 형태는 무척이나 심플한데 좀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보려고 하니 여러므로 힘이 드네요.


휴대용으로 소형의 장치를 만들 생각입니다. ARMs7이나 ARMs9으로 그냥 화면 출력과 데이터 전송 등을 하며 통신으로 PC와 자료를 주고 받아가며 반응하는 장치가 기본 사상입니다.


일단은 USB를 통해서 전원인가와 통신을 할 생각이고 기초적인 것은 범용 개발보드를 이용해서 테스트 해봤습니다만, 몇가지 단점으로 미뤄오고 있었습니다.


그중 첫번째 단점으로 꼽았던 부분이 터치를 통한 입력이었는데요. 감압식의 특성상 제가 만드려는 형태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화면에 버튼 등이 표기되어 있고 손가락을 이용해서 해당 버튼을 누르면 PC에서 그 신호를 받아서 키보드 혹은 마우스의 입출력으로 변환해 주는 것을 만들려고 합니다.

아이폰(아이팟)의 [에어마우스] 형태를 만들 생각입니다. 아이팟을 갖고 있어서 사용하면서 느꼈던 단점은 무선 통신.. 그것도 WIFI나 블루투스를 통한 통신을 하고 제 마음대로 커스트마이징(하드웨어)이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


미리 말씀드렸지만 제품을 만드려는 것이 아니고 제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소형으로 집약 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아이팟 등을 이용한 활용은 문제가 발생됩니다.(또한 아이팟은 딴거 해야 하겠죠.  오락 등등.)


--------

그래서 마음대로 센서 등을 추가하면서도 수정이 용이한 환경을 만들 생각을 하게 되었고 직접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냥 소프트웨어만 만들어 오던 놈이 뭐를 알겠습니까... ㅠㅠ

여러 범용 교육보드를 가지고 테스트 정도나 해 보는 것이 고작입니다. ARMs7쪽의 경우엔 핀도 복잡하지 않아서 직접 납땜을 해가면서 브래드보드를 이용하거나 해서 개발이 가능했었습니다만....


정전압 터치패널를 알게 되면서 터치쪽은 정전압을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 같아졌습니다. 그러나 소형 정전압 패널을 구하기는 하늘에 별따기..(아이팟터치 부품을 팔길래 사서 테스트하려다가 드라이버IC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 포기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다가 오드로이드가 정전압 터치패널을 사용한 것을 알게되고 이제현님께 부품 수급등을 여쭤본 바.. 여유분을 구할 수 있을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지만.... ㅠㅠ 손 땜이 불가능한 부품들이어서 제가 작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 : http://www.aesop.or.kr/?document_srl=155910#1


--------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1. UDFN 패키지 등 SMT공정이 필요한 부품들을 실장하려고 합니다. (변환 소켓 형식으로 손땜이 가능한 크기정도의 사이즈로 변경하는 PCB를 만들고 부품을 실장하려고 합니다.) 아트웤에서 SMT까지 소요되는 비용은 어느정도가 될까요?

변환기판이니 굳이 양면이 필요도 없고 단면에 선만 연장해서 연결 핀만 늘어 놓는 형태일텐데 어떨지요.


2. 소량(많아봐야 각각 5개 이하)을 만들어 주기도 할까요?


대충 PCB업체들에 컨택을 해보려고 해도 처음이고 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 지 답답합니다.


이솝 여러분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자 포인트는 최대 포인트인 100포인트!! 

아낌없이 드립니다.


-------- 3:35분 추가사항

김종현님//

SMT공정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PCB제작 시에 같이 합산되는 건가요?

아무래도 별도 공정으로 판단되는데 어떤 지 궁금합니다.


-------- 4:52분 추가사항

역시 쉽지 않은 일이군요. 되도록 손땜으로 하려던 이유가 싸게 테스트하면서 만들어 보기 위한 것이었는데 ㅠㅠ

변환기판만 만들어서 모듈별로 손땜으로 연결하려고 했는데 가격이 문제군요.(LCD 연결 변환보드, 터치패널 연결 및 드라이버 연결 변환보드 이런식으로 두개 만들어서 래핑해서 쓰려고 했는데 너무 쉽게 생각했나 봅니다.)


뭐 회로 설계랄 것은 없을 거로 보이고요. 실 회로를 설계하기 전에 연결해서 테스트할 용도로 만드는 것이다 보니..

아트웤부분은 PADS 프로그램을 알아보기는 했는데 이게 라이브러리가 있어야 쉽고 아니면 만들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연결 소켓등이라서 쉬울 것 같기는 하지만 뭐 어디까지나 모르는 사람 생각이고요.


가장 문제는 실장부분이군요.


에휴..


아. RGB출력의 경우엔 SAM7X에서 16비트 컬러까지는 출력해 봤습니다. 

24비트는 하위비트를 날려서 처리하면 처리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었습니다.

원래 이렇게 하려던 이유가 싼 가격에 만드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요.


한 30만원 가량에 금액으로 부품만 수급해서 손땜을 해가며 만들어서 쓰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힘들겠네요. 변환 소켓이 걸리다니.. ㅠㅠ


LCD는 굳이 SMT가 필요 없지만 터치의 드라이버 IC가 문제네요. ARM에서 직접 처리하기엔 퍼포먼스 문제가 생길 것 같고....



아 참고로 소프트웨어는 사실 보드 자체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습니다. 단순히 PC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뿌려주는 역활과 입력 값을 PC로 보내는 정도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 놨습니다. 운영체제도 안 얹고 그냥 코딩으로 돌려 버려서 속도도 괜찮았습니다.


이미지, 폰트 등을 시리얼메모리에 올려놨다가 로드해서 사용해서 전송 크기도 줄이는 방법 등.... 열심히 만들어 놨는데...

에구 그냥 터치 방식을 감압식으로 하고 그냥 저냥 써야 겠네요. 



도움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황세희님이 분류해서 알려주셔서 황세희님으로 답변을 채택합니다.



김종현

2010.01.07 23:49:46
*.137.222.142

저같은 경우 전 회사에서는 회로가 복잡하지 않아서 제가 직접 아트웍을 했습니다만

지금 회사에선 설계만하고 아트웍은 외주로 하고 있습니다.

아트웍 가격은 핀수로 계산하는데 회로의 복잡성에 따라서 단가가 달라집니다.

저희 회사 납품하시는 분은 프리랜서로 하시는 분인데 아트웍하고 샘플보드 5장 정도 만들어서 납품하는데

30만원쯤 합니다.

그런데 보드가 작으면 장수가 많아도 가격차이는 얼마 안납니다.

PCB 제작 공정 자체가 원판한장 단위로 생산하는데 원판한장이면 손바닥만한거 30장 이상 나오거든요.

 

just4you

2010.01.08 00:39:34
*.11.206.224

제 개인적으론 판단으론 혼자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 적어드리겠습니다...

(하드웨어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좀 힘듧니다..)

 

1. 회로 설계

(이건 아마도 혼자 해결하시거나 주위에 하드웨어 하시는 분한테 부탁하거나... 어떻게든 자체 해결이 최선이라 생각됨)

 

2. 아트웍

(적어놓은 글을 보니 아트웍을 맡기셔야 할 것같은데..

 4층을 넘는 보드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핀당 1000원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PCB 아트웍은 PCB 제작하는 큰 업체라면 보통 같이합니다.. 하지만 비용은 조금 더 생각하셔야하구요..)

 

* 그렇지만 큰 문제는 아트웍 하시는 분들은 하드웨어 설계를 잘 모르기 때문에...

   어느정도 해보신 분이 아트웍에 대한 레이아웃을 코치해줘야하는데... 아마 이런 부분이 어려울듯 하네요...

 

3. PCB 제작

(LCD와 터치 패널에 대한 것만 만들꺼라면 그다지 고사양이 아닌듯하나...

 어떤 건지 모르니 정확히 말씀드릴 순 없지만 30만원은 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4. SMT (실장)

(부품은 알아서 구하실 것 같으니 패스..

 보통 마스크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기본 금액 얼마 +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소량도 만들어주긴 합니다만 업체마다 가격 정책이 많이 틀려서 정확히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업체들 연락해서 가격 비교해보고 결정하실 수 밖에요..

 

  아니면 납땜 힘든 부품만 실장해달라고 하시고 나머진 손땜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보드당 1~2만원 정도에 해결할 수도 있는데.. 역시나 이런걸 해주는 곳을 찾기가...)

 

 

P.S > 뭐 세상사는게 다 그렇겠지만...

         소량이어도 보통 가격만 맞으면 다 해줍니다...

이제현

2010.01.08 01:34:04
*.120.74.180

제가 보기에는 컬러 LCD가 달린 노트북용 터치패드 비슷한 제품을 만들고 싶어하시는것 같은데...


우선 Odroid에 사용된 정전터치스크린을 채택하신것은 바람직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LCD가 좀 문제가 될것 같네요.

ARM7이나 ARM9 기반의 MicroController 중에 LCD 인터페이스로 RGB 타입이 가능한 제품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회로 설계를 제외하고도 샘플 부품(일부는 릴로 구입해야 할수도 있습니다), PCB 아트웍, PCB 샘플, SMT 비용까지 계산하면 최소 100만원은 잡아야 할겁니다. 거기다 한번에 동작시킬수 있는가라는 중요한 변수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야 다시 만들던 디버깅을 하면 되지만, 하드웨어는 돈과 시간이 많이 많이 들어갑니다.


제 생각으로는 ODROID에 간단한 리눅스를 올려서 USB Gadget으로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 보심이 현실적일것 같습니다.

우선 SDL로 간단한 그림을 그려보고 UI를 구현하고, USB로 HID Gadget을 만들어 Odroid가 PC의 마우스 처럼 동작하게 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 다음 Bluez에 있는 BT HID를 이용해도 좋을것 같고요..


취미로 하기에는 돈이 좀 많이 들어갈것 같아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물론 여윳돈이 많고, 이 기회에 하드웨어를 공부하시고 싶다면 좀 더 추가 조언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628 tcc8900로 제품 만드시는분 계신가요 ? [2] 이성호 2010-01-05 868
3627 u-boot를 날려버린것 같습니다.어떻게 해야할까요? [2] 버즈 2010-01-05 756
3626 aESOP의 문서양식이 있나요? [2] just4you 2010-01-05 478
3625 ODROID Eclair 동작 질문^^ [2] 이종범 2010-01-06 554
3624 ODROID 부품 별도 구매건의 [1] 도찬구 2010-01-06 625
3623 CS8900 Ethernet Chip not found?! , Ethernet 불도꺼지고.. [1] 버즈 2010-01-07 504
3622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포팅 중 질문이 있습니다. [3] 우정 2010-01-07 1976
3621 Omap1710 디버깅 추가 질문이요 (A1000) [2] 하얀세상 2010-01-07 584
3620 USB 포팅관련 질문드립니다. [1] 김승한 2010-01-07 33357
3619 안드로이드 루트파일시스템을 Nand에 복사는 어떻게 하나요? [2] just4you 2010-01-07 1123
» PCB아트웤을 통해서 샘플보드를 만들려고하면.. [3] 도찬구 2010-01-07 1111
3617 임베디드 장비에 올릴 xml 괜찮은거 있으면 추천 좀 해주십시요 [3] 이경준 2010-01-07 507
3616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안드로이드 [2] 도너 2010-01-07 963
3615 GPIO Mode Configuration with OMAP3530 ? [2] 김병종 2010-01-08 961
3614 SMDKC100 u-boot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1] 별사냥꾼 2010-01-08 775
3613 오드로이드 RTC 쪽에 들어가는 코인 배터리... [1] 현쓰 2010-01-08 808
3612 리눅스에서 항법센서(AHRS) 및 GPS 센서에 대한 질문입니다.. [2] 서유한 2010-01-08 1023
3611 임베디드 리눅스 DRAM에 올라온 내용을 볼 수 있나요? [3] 하얀세상 2010-01-08 623
3610 안드로이드 툴체인 + glibc [4] 서정민 2010-01-08 993
3609 ioread16에서 8비트 데이터만 읽어드리는 이유... [2] 허경 2010-01-09 534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