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및 비회원 모두 열람이 가능합니다. 최대 업로드 가능한 용량은 20MB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 임베디드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하는 마음은 크지만
아직은 보잘 것 없는 26살 청년입니다. 하핫

전 컴공을 나와서 소프트를 맡아 이제 막 사회에 입문한지
일년이 되어가는 신입내기이고, 아는 것도 없지만
그에 비해 하고싶은 것도 많고, 나름 이루고 싶은 것도 많아
앞날이 걱정됩니다. 하하

제 궁금점은 임베디드란 분야가 소프트+하드 로 구성 되는데..
제 마음은 하드도 공부해서 해보고 싶고, 알고 싶은데..

접근을 어떤식으로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하드웨어에 관해 문외한이라 보시면 됩니다.

많은 프로분들 좋언 부탁드려요~!

오늘은 날씨가 좋네요.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고현철

2007.03.30 20:30:55
*.70.26.87

hw는 전자회로가 기본입니다...^^, 그 밑으로는 회로이론인데, 주로 전자회로쪽이 많고요.

그렇게 이론을 공부한 후에, 8bit나 아니면 간단하게 뜰 수 있는 hw를 직접 제작해 보면서(설계도 하고), 실력을 많이 키우더군요.

물론, 그 전에 잘된 회로를 공부하는게 우선이고요.

학생때까지는 거기가 한계라고 보여집니다. 나머지는 회사에서 공부하는게 보통이지요

오주열

2007.03.30 21:57:26
*.226.213.130

고현철님 말씀대로 하심이 일단은 통상의 정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3년차 사원인데 왠만한 중소기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분이 좀 모호해집니다. 어떤 때는 회로를 좀 구성했다가 디바이스 드라이버부터 어플리케이션 까지 코딩해야 할때도 있고. 좀 웃기죠. 문제는 하드웨어부터 기초가 없다면 계속 수박 겉핥기가 되더라구요. 저도 논리회로, 전자회로 이런 것 다 배우긴 했는데 관심없어했던 분야라 소홀히 했더니 회사와서 후회 많이 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교육 홍보 및 광고는 "교육 및 세미나 홍보" 게시판을 이용해 ... 관리자 2010-07-15 10839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