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및 비회원 모두 열람이 가능합니다. 최대 업로드 가능한 용량은 20MB 입니다.

lx800에 대한 공제(공구성격이 더 강해졌지만)와 mp2530에 리눅스
포팅하면서 배운게 많습니다.

첫째로, 섵불리 손 대서는 안되겠구나....이고
둘째로, 너무나 많이 바뀐 리눅스 커널에 놀랐고요.

=============================================
예전 aesop 1차때는 서로 모여서 납땜도 하고(2주에 걸쳐서) 여러가지
일들이 많았었는데, 2차서부터는 운영진에서 1차때 넘 힘든것을 염두에
두어서 회원분들의 참여가 부담스러워서 공제개념에서는 약간 멀어진 듯 합니다.

aesop 3차때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100M ethernet을 초기에는 DM9000A로 잡았었다가 막판에 smsc91c113으로
변경을 했습니다.

dm9000a 보드를 두번 뜨고, 한달넘게 에이징테스트를 하면서 문제가 나왔습니다.
수백번 연속 reset시 멈추는 증상이 나오더군요. 그 문제때문에 2주를 꼬박밤샘하면서
온갖 짓을 다 했습니다만, 결국은 못잡았습니다.

해서 아주 급하게 smsc91c113으로 다른 회원분의 도움을 받아서 공제를진행하였습니다.
이것도 PCB 삑사리 한번 나오는 통에 160매 분량 전량 PCB를 폐기처분했었고요.

==============================================

aesop보드가 풀리면서 많은 리소스가 feedback되면서 아주 기분이 좋습니다...^^

하지만, 그에 비례해서 부담감이 많아집니다.

예를 들어, aesop 3차의 경우 사가신 분들 중 양산을 목표로 해서 aesop을
기반으로 보드를 만들었을 경우 문제가 생긴다는 report가 나올 경우도 생깁니다.

aesop 운영진들의 실수로 hw 블럭중 몇가지를 테스트 못하거나 발견못한 문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말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눅스는 시스템파트에 많이 쓰이기 때문에 스트레스 테스트를 많이 해야하지만
운영진에서 할 수 있는게 한계가 생기더군요.

면피하자는 얘기는 아니지만, aesop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더군요.....대략난감이죠...^^

===============================================

aesop은 국내에서 거의 유일한 hw/sw 파트가 공존하는 사이트라고 개인적으로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떠한 외부의 지원도 받지 않고, 아주 고집스러운(?) 분들의 도움으로
유지가 되고 있습니다.

너무 힘들어서 그만둘까도 생각했지만,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게 너무나 아깝고
많은 분들이 자료를 올려주시는데 이것을 방치하기도 그렇고요.

실은 개인적인 것 때문에 정말 그만두기 싫습니다. 몇년을 고생하면서
쌓아놓은 것인데요....^^

앞으로 어떤 칩이 공제가 될지 공구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없을지도 모르지만, 계속 시도는 할 생각입니다.

===================================================
앞으로 혹시 운영진들의 말 실수나, 아니면 hw실수, sw실수가 계속 나올겁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운영과 어떤 이벤트를 진행하는 입장의 사람들에 대해서
조금만 이해해 주시고, 많은 충고를 해주시면 정말 고마운 일일 듯 합니다.


요즘 회사 보드의 hw에 문제가 생겨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지쳐있습니다.
저도 이런저런일로 계속 손에 암것도 안 잡히네요.

누구를 탓하기 보다는 해결이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aesop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생각으로 하고 있고요.

날씨가 뒤숭숭하니 하소연 아닌 하소연만 하게 되네요....^^


벌써 5월말인데, 한 달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나이가 또 먹어가는 소리가 팍팍 들리네요....--; 이궁....)

그럼....



윤광윤

2007.05.29 21:06:05
*.238.65.197

저희도 사이트도 사용할 보드들은 전부 자작하므로 보드뻑이 아주 많습니다.
PCB발주 나갔는데 입고되기전에 버그발견 입고후 바로 쓰레기통 ㅠ,ㅠ;

회원수래야 고작 10명 남짓이라 4층경우 한두번 재작업 해버리면
PCB제작비만 회원수로 나누면 10만원이 훌떡 넘어가 버리곤 하지요 ^^.
결국 회원분들 회사거 작업하는데 꼽사리 끼기도 하고 부품도 회사거
구매시 살짝살짝 넣기도 하고 갖은 꽁수를 사용합니다.

하물며 이솝같이 수량이 에매(?) 한경우 H/W뻑나면 정말 주관 입장에서는
난감 x 1000000 이 되버리지요..

게다가 배포후 발견되는 버그가 있을경우 이건 뭐 말로 표현할수도 없구요.
그런다고 보드 없이 Embedded 같이 공부 한다는 것도 말이 안되구요.
난감하기 그지 없습니다.

저희가이트도 회원수를 늘리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가 이런 부분입니다.
-------------------------------------------------------------
몇몇분은 PDS에 자료도 피드백 되고 나름대로 사용하고 계신듯 한데.

aEsop2440 1,2,3차 까지 나간 수량과 LX800 나간 수량 생각해보면
게시판 활동이 좀 거시기해 보이기도 하구요.

요즘의 PMP 네비시장 추세가 알케미 CE로 도배 해서 그런지...
초창기에 비해 좀 거시기 한것도 같아 보이구요...

조금 후속부분에 집중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Embedded 사이트들이 공제, 공구 과정에서는 엄청 활발해졌다가
공제 후에 시들어 버린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공제한 보드를 가지고
뭔가를 해볼수 있는 후속부분을 이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공제 보드 받고, Host Linux깔고 삽질좀 하다, 부팅되고 로긴 해서
데모 MP3 좀 들어 보고 동영상 좀 돌려 보면 다음엔 ^^;;;
물론 여기서 스스로 나가야 되겟지만 사실 그리 치부해 버리기에는 좀 거시기
하지요 ..

모두가 포팅하고, 모두가 드라이버 개발하고, 모두가 H/W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는 H/W 해서 다른 파트쪽 도움주고, 포팅해서 도움주고, 드라이버 만들어 도움주고,
하지만 보다 많은 분들은 어플쪽을 하는것이 전체적인 발전을 위해서
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항상 나오는 반복적인 문제... host깔기, 툴체인 설치하기, 삼바잡기,
nfs잡기, 등등등.....

처음 부터 H/W 포팅, 드라이버, 기가 질려서 못하는 분들도 너무 많으니까요.

적당한 표준 X-Manager, SDL , WxWidget 같은거 결정해서
1차에서 했듯이 모범 환경 DVD 하나 쌈빡하게 만들어 배포 하고

아랫단은 왜되는지 몰라도 하다못해 테트리스 만들기 같은거 부터 어플을 시작하다
어느정도 기술이 되면 터치나 키같은 드라이버단도, 좀더 하다보면 포팅도....
이리 접근하는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플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아이디어와 컨셉도 중요하므로 이런 부분이 활성화
되어야 Linux 가 시장에서 설수 있는 바탕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포팅이 잘됬다고 드라이버가 잘됬다고 Linux를 사용치는 않을 것입니다.
이 환경에서 돌아가는 어플층이 얼마나 두꺼워지느냐가 관건 아닐까
싶습니다. PC Linux에서 돌아가는 것들이 100% 돌아가지는 않겠지만
Linux도 꽤나 많은 어플들이 있을 겁니다. 그런것들 얼마까지 돌아가는지
무조건 돌린다고 올라가지는 않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플층이 두꺼워지면 Core바뀌거나 ARM11이 오더라도
결국 전에 버벅이던것이 안되던 것이 잘돌아가는 상황이
될테니까요.

Basic한 부분 하시는 분들은 또 열심히 해서 그부분 블럭이 안정화되고
최적화 되도록 하고 보다 많은 분들은 제품화시 최종 사용자들이
사용할 어플작업에도 투자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공제는 선발진이 먼저 해보고 어느정도 시험및 안정화를 거친 다음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야 동회회 차원에서 할수 잇는 책임의 한도와 부담을 줄일수
있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그냥 주관적으로 막무가네로 생각나는 대로 적어 보았습니다..
태클 환영입니다... ^^;

장석원

2007.05.29 21:14:33
*.33.249.58

리눅스커널2.6 포팅과 관련하여 유익한 기술정보를 이솝커널을 통해서
얻을수 있어서 고도리님께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읍니다

이솝커널에서 배우고 싶었던게 파일시스템에 x-window 포팅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나중에 시간이 된다면 배워놓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읍니다 ...

여기 게시판을 보니까 wxWidget 을 사용하면 Win32 API 나 MFC로
구현한 C 소스가 그대로 포팅이 가능하다고 하던데 진짜 그런가요 ???

리눅스 GUI 관련하여 개발환경설정부터 S/W 설계까지를 다루는
온/오프 모임 내지는 게시판이 만들어져서 활성화 되었으면 합니다 ...


윤광윤

2007.05.29 21:21:49
*.238.65.197

^^ 석원님
http://www.wxwidgets.org
여기서 한번 개념익히시면 될듯 합니다.
이놈도 나름대로 API를 가지고 있고 플랫폼간 이식성이 뛰어나다는것과
나름대로 쓸만한 레이드 툴들이 돌아 다닌다는 것입니다.

Linux에서 Form 기반 GUI 어플 작업 할려면 환상적이지요.
CE에서는 VS.Net에서 작업을 하지만 아직은 EVC++을 많이 쓰지요.
Embedded Linux에서 WxWidgets을 자유로이 쓸수 있다면
일반 GUI어플에서는 VS.Net보다더 더 쓸만하지 않을까 하는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고현철

2007.05.29 21:25:32
*.70.26.87

저도 VS.net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windows의 경우 win32 API도 direct로 접근이 가능하고요.
X의 경우도 Xv driver까지 접근이 가능합니다. ex> vlc media player

wxWidget 자료 정리중에 있습니다. 어디 강의를 하게 되어서요....

정리하고 나서는 다시 공부시작입니다.
그동안 했던게 정리되면 꽤 괜찮은 자료가 나올 듯 하네요.

장석원

2007.05.29 21:41:05
*.33.249.58

wxWidget 자료를 찿으실때 어떤방법을 사용해서 찿으셨나요 ???

wxWidget 을 처음에 공부하실때 어떤게 접근하셨는지 경험담을 듣고 싶읍니다 ...



이제현

2007.05.29 23:37:29
*.41.109.34

Cross-Platform GUI Programming with wxWIDGETS라는 책을 한번 보세요.
Prentice Hall 영문판입니다.

장석원

2007.05.30 00:33:52
*.33.249.58

추천해 주신 책은 어제 이미 주문했답니다 ....

고맙습니다 ......

이제현

2007.05.30 00:39:18
*.41.109.34

공제와 공구의 차이를 좀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네요...

ASG 형태의 폐쇄(?) 그룹을 통해 개발(공제)를 해보고,
그 다음 공구를 하는 형식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좀 더 많은 고민과 의견 수렴이 필요하겠습니다.

방창혁

2007.05.30 04:36:58
*.70.26.87

언제나 느끼는 감정이지만 항상 주옥같은 말들입니다. 늘 알면서도 잘 않되고 멀어만 보이는

오아시스 같은 존재라고 할까요...^^;;

예전 부터 늘 지금도 같지만 같이 하는 것에 즐거움이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전 동호회 활동 자체가 생활의 활력이 된다고 생각을 하는 사람중에 한명입니다..^^;;

주체 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정보와 하루 하루 변화되는 기술들이 때로는 먼 이야기 같기도

하지만 그래도 질문도 할 수 있고, 때로는 정답도 찾을 수 있는...그런곳이 동호회라고 생각합니다. 공제와 공구 아직 개념 없는 분들도 많이 있고, 예전 처럼 한국의 품앗씨 전통도 희미
해지는 요즘 입니다.

어느서 봤던 이야기인데 농부가 병들어가는 벼들을 뽑으니, 지나가던 사람이 묻기를 자식같이

공들인 벼들이 죽어가니 상심이 크시겠습니다. 라고 말하니, 농부가 말하길 그대로 이 녀석이

다른 녀석들을 살렸으니 다행이 아닙니까라고 말을 했다고 하더군요...

이 글을 보면서 생각의 차이라는게 느껴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때로는 영리를 목적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일도 있지만, 그것 보다 더 소중한 싹들이

자라는 터전이기에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앞으로의 일이 순탄하지만은 않지만 그래도 같이 재미있는 일들을 해왔으면, 앞으로도

더 재미있는 일들이 생길거라 벌써 부터 가슴이 설레입니다.

^^ 이솝 화이팅입니다..!

정인권

2007.06.01 07:17:07
*.148.39.39

고현철님 다시 기운 차리신것 같아서 보기 좋군요..
앞으로도 많은 활동 기대합니다.^^

한영민

2007.06.01 07:38:42
*.14.30.71


기운차리세요 ^______^.......

아자!!! 힘내세요

김현기

2007.06.02 07:37:53
*.134.63.187

힘내세여~... 전 아직 학생이라..;; 그냥 배우는 입장인데...요새 이 싸이트보면서 하나하나 따라하고 코드보며,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모든걸 운영진에게 부담시키기 보단, 스터디 형식도 갠찮은거 같네여, 학교에서도 정말 이 분야 관심이 많거든여...^^;
신나게 달려봐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교육 홍보 및 광고는 "교육 및 세미나 홍보" 게시판을 이용해 ... 관리자 2010-07-15 108396
490 골때린 paragui.....--; [2] 고현철 2007-06-14 2876
489 [퍼온글] 애플 "MS윈도를 품안에" 장석원 2007-06-13 1768
488 [펌글]IT맨, 내가 사직서를 쓴 이유 [8] 윤현승 2007-06-11 3314
487 MP2530 Linux Port Progress & meeting with Magiceyes &... [14] 고현철 2007-06-10 3643
486 hjtag + ADS 조합 정말 멋집니다! file [4] 전병우 2007-06-10 1995
485 이솝 3차 보드 구매합니다. 이정헌 2007-06-09 1506
484 gumstix 같은 보드 [1] 오인호 2007-06-08 1600
483 초소형 VIA 보드. [2] 유형목 2007-06-08 1755
482 Netscape 9.0 출시 [1] 유형목 2007-06-08 1564
481 [LX800]뒤늦게 설치 신고합니다^^*; [1] 정인권 2007-06-07 1518
480 추억여행하시라고.. file [1] 김증일 2007-06-06 1502
479 "로마인 이야기" 좋아하세요? - 시오노 나나미의 인터뷰가 있어 ... [4] 고현철 2007-06-06 1640
478 다들 주말엔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 [14] 장석원 2007-06-04 1691
477 [구인] ARM 기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경력자 모집 [3] 유비포스 2007-06-03 1939
476 SDL에 wxWidget을 포팅할까 합니다...^^ [3] 고현철 2007-06-01 2455
475 이솝 S3C2440 3차보드 중고 구매하려고 합니다..^^ 이정헌 2007-06-01 1558
» aesop에서 진행하는 공제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과 부탁말씀... [12] 고현철 2007-05-29 2103
473 ARM11 core들을 보면서..... [1] 고현철 2007-05-29 2084
472 COMPASS의 MP2530 보드?? [14] 윤광윤 2007-05-28 3636
471 [삽질] SGI 1200 분해하기 [1] 유형목 2007-05-26 1573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