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1. 전제설명1: 저희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이하 명칭을 센서보드라고 칭함)의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능>---------------------------------------------------
센서보드는 상용 안드로이드 스마트폰(EX:갤럭시 시리즈)과 USB Inferface로 연결이 됩니다.
센서보드의 주요 부품은 MCU와 온도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온도측정이 주 기능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JAVA API를 이용해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고,
그 앱에서 센서를 control하고, 온도를 측정하여 LCD화면에 Display합니다.
------------------------------------------------------------------------------------

 

2. 전제설명2: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Interface 방법과 매칭되는 API를 생각해 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Interface 방법>--------------------------------------------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센서보드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현실적인 측면을 배제하고, 이론적인 측면만 고려했을 때입니다.)

 

1) 1안: 스마트폰의 AP(USB Host)   <=(USB I/F)=> 센서보드의 MCU(USB client)
   ===> 아래의 URL의 API를 사용한다.
   ===> http://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hardware/usb/UsbDevice.html

2) 2안: 스마트폰의 AP(USB client) <=(USB I/F)=> 센서보드의 MCU(USB host)
   ===> 아래의 URL의 API를 사용한다.
   ===> http://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hardware/usb/UsbAccessory.html

 

*.위에서 AP와 MCU는 USB Host와 USB client를 칩내부에 내장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

 

3. 문의
<문의1>
제가 알기로는 구글 'ADK(= Accessory Development Kit)'란...
위의 2.1)항은 아니고, 위의 2.2)항인 경우로 알고 있습니다.
저의 판단이 맞습니까? 아니면, 2.1)항도 ADK가 될 수가 있는지요 ?

 

<문의2>
위의 2.2)항과 같은 경우로 제품을 구현하려면, 센서보드가 USB HOST이므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고, 반드시 센서보드에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지요 ?
센서보드 독립적인 전원이 없이, 스마트폰으로 부터 연결된 USB I/F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

 

<문의3>
위의 2.1)항과 같은 경우에는 센서보드가 USB client가 되므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센서보드에 별도의 전원공급(ex:센서보드용 밧데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전원 공급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ADK  규정에서는 "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USB client가 되도록"  정했는 지요 ?
만약(가정), ADK 규정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USB HOST가 되도록"  정했다면,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지요 ?

(물론, 스마트폰이 HOST가 되어서 전원을 공급한다고 했을 때는,
센서보드는 USB규격상에서 규정하는 전류의 량보다 적게 소모한다고 전제를 합니다.)


 


쭈암

2012.09.04 11:49:37
*.204.248.62

2.1은 adk가 아닙니다.

전원은 다른분이 대답해 주실겁니다.

Usb host가 항상 되는 건 아닙니다.

그당시에는 호스트가 필수가 아니여서요..

일종의 꼼수죠.


고도리

2012.09.04 22:01:53
*.200.239.210

문의 3에 대한 간단한 답변>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을 위한 플랫폼입니다. 즉, pc랑 붙이도록 일반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host 기능이 없습니다.

김장균

2012.09.05 10:08:24
*.105.153.190

최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USB-OTG의 호스트 모드를 이용해서 Host mode accessory API를 지원하는 경우가 자주 보입니다.

고등어

2012.09.05 08:19:18
*.115.216.70

안드로이드 USB host API와 USB accessory API를 둘다 구현해본 경험으로는

안드로이드 USB host API로 구현하는 편이 편합니다.


참고로, USB client가 아니고 USB device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I2C와 I2S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5]

s3c2450 datasheet는 없나요? [2]

  • Supsupi
  • 2012-09-13
  • 조회 수 1309

V210 에 ICS를 올렸는데 ConnectionManager에서 WiFi 정보가 없... [2]

jellybean 7.1채널 지원 하나요? [6]

  • ljcg
  • 2012-09-10
  • 조회 수 1115

ADK를 이렇게 가능한가요 ? [2]

wifi 포팅중인데요..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납니다 [1]

ICS의 설정 메뉴에서 "WIRELESS & NETWORKS"부분이 활성화 않... [1]

vmware 에 설치된 리눅스에서 공유폴더에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 [1]

[C110] 마이크 입력관련문의.. [2]

linux kernel영역에서 system() 함수 호출하기.. [3]

USB HOST, client I/F 관련해서 여쭤보고자 합니다. [4]

[문의]ADS1.2 컴파일러 버그 관련. [2]

ICS에 동영상 넣기 [1]

mp2530f 용 uboot 컴파일 할때 오류가 납니다. [3]

Software Watchdog & SoC Watchdog 관련 질문...................... [2]

ICS WebView Mouse over 이벤트 문의

  • jaeokbr
  • 2012-08-31
  • 조회 수 825

gcc 어셈블리 컴파일 에러 [5]

pcb를 제작하려고 하는데 [7]

  • Supsupi
  • 2012-08-29
  • 조회 수 1417

이더넷포트 6개-8개 정도 사용할수 있는 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질문]PCB 설계에서 메모리 길이는? [3]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