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및 비회원 모두 열람이 가능합니다. 최대 업로드 가능한 용량은 20MB 입니다.

S5PC100 이 자체적으로 IROM 을 이용하여 , USB boot 가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BL0이 IROM 이라면, BL1 소스를 구할수 있을 까요?

 USB Boot를 테스트 하고 싶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profile

JhoonKim

2010.05.20 02:50:02
*.140.0.103

네.. 테스트는 해놓았는데, 시간이 없어서 릴리즈를 하지 않았습니다.

소스코드 정리해서 곧 릴리즈 하겠습니다. :)

허환

2010.05.20 22:36:51
*.29.224.25

만약 가능하시다면, SD card boot 관련 자료나 소스도 좀 부탁 드릴수 있을 까요?

USB boot를 해보구 싶기도 하지만, SD card boot도 된다는 말들도 많아서요, 제대로 정리된 문서가 없네요..

USB boot 나 SD boot 관련 삼성자료를 오픈하실 생각은 없으신지...

Secure boot 관련 사항인가요?

바쁘신지 알지만, 부탁 드리겠습니다.

잘만하면 전혀 새로운 초기 개발환경이 구축될수 있을듯...

 

류민희

2011.09.23 08:41:38
*.207.188.82

지난주에 안드로이드 공개특강에서 유형목(embryo1103)님에게 S5PC100의 NAND Boot 시 BL1 처리 어떻게 하는지 질문 했으나 결국 BL1은 알아서 만들어 써야 한다고 해서 하나 만들었어요.

SD boot 도 결국은 부팅 가능한 SD에서 초기 8KB를 추출해서 사용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재료가 없어서 NAND boot용 BL1만 만들어 봤는데 잘 동작 하네요.

 

저같은 경우엔 NAND Block0 - 16K를 BL1으로 하고 Block 2~3(256KB)를 Bootloader로 저장해서 BL1이 DRAM에 Bootloader 로딩 한 후에 Program Counter 변경하여 Bootloader 실행되도록 했고 잘 되네요.

양산까진 잘 살펴봐야 하겠지만...뭐 BL1이 하는일이 지극히 간단한 것이므로 크게 문제가 없을 듯 하네요.  ㅎㅎ

 

[간단 설명]

BL0(iROM)은 NAND Boot시 NAND Block 0의 16KB(BL1)을 iRAM에 로딩 후 Program Counter를 iRAM start address로 바꿔 점프합니다.

이때 BL1은 CPU / NAND / Memory(DRAM)  init을 간략히 한뒤에 NAND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Memory(DRAM)에 로딩 한 뒤에 DRAM으로 점프해서 이후 동작을 하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BL1이 iRAM에 16KB로 제한 되어있으므로 최대한 간단한 동작만을 할 것을 조언합니다.

나중에 시간남거나 필요성이 있으면 SD 용 BL1도 하나 준비해 볼까 합니다.

 

저도 리눅스 시작한지 별로 안되어서 잘모르지만 연락 주시면 도움 드리겠습니다.

[email protected]

 

Don't worry, be happ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교육 홍보 및 광고는 "교육 및 세미나 홍보" 게시판을 이용해 ... 관리자 2010-07-15 108052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