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QT4에서 Qprocess 라는 함수를 이용 외부 프로그램인 mplayer, gnash를 실행시키고 있습니다.
그냥 mplayer 나 gnash 를 실행시켜도 무방하지만, 이 두개가 크키는 변경이 가능하지만 시작위치는
항상 0,0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QT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실행시키고 있는데요,
어떤 사이트에 가니 winId()의 값을 받아서 하면 된다! 하면서 예제프로그램도 같이 올려주셨는데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았으나, 여전히 0,0의 좌표부터 QT의 위젯자체를 덮어버리고
실행이 되어버립니다... mplayer가 안되는이상 gnash 라도 해볼려고 했으나 역시 증상은 똑같구요 ^^..
이솝 포럼 찾아다니다보니... 소스자체를 수정해야 한다고 하시던데... 어느 부분을 수정하여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혹 아신다면 조언좀 해주세요( _  _ )
다른 방법을 아신다면 그것이라도 부탁드립니다.

안병기

2009.07.16 02:37:08
*.118.69.195

mplayer 의 경우 libvo/ 디렉토리 안에 vo_fbdev.c 파일이 있습니다. 여기서 offset 값을 수정해 주면 됩니다.
정확히 어디 부분을 수정해야하는 지는 한지 오래되서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파일 열어보고 천천히 한번 보시면, 금방 수정해야 될 부분을 찾을 수 있을 거에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vold.conf 이 system/etc 안에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4]

WM9713 이상 [1]

중국 용어를 잘 아시는 분 [7]

양산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은?? [5]

yaffs2를 rootfs로 사용하는 방법?

YAFFS2 마운트는 되는데 파일쓰기 에러... [1]

RT73 드라이버로 인한 커널 패닉? 시스템 사용시 에러메시지 출력... [3]

JFFS2 문제 없습니까?

aesop6410 EVM 보드 구매할 수 없는지요.? [1]

임베디드 리눅스의 GUI에 대해 질문드려요!

full source Master 가 donut 으로 변경되었는데 잘 안되네요. 쩝... [1]

SMDKC100 때문에.... [2]

텔레칩스 chip들에 관련 질문.... [3]

HDD를 acoustic noise를 측정하기 위한 script는 없나요?

디바이스 드라이버 관련 질문입니다.

qt/e 타겟보드에서 터치가 이상합니다.

6410 usb OTG 관련 [1]

ffmpeg을 크로스컴파일하여 보드에 porting하여 실행시 문제입니다

리눅스 커널의 메모리 영역

QT4에서 mplayer, gnash 등과 같은 외부프로그램 실행시에요.. [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