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질문이 2가지입니다.


1. 안드로이드 빌드 후 system.img가 기존의 partition size를 초과하여 flash write가 불가능합니다.

    eMMC의 partition size를 키우는 방법 ?


2. 1번을 해결하기위해 arndale>fdisk -c -o 1024 1024 1024를 수행하니 전혀 부팅이 되지않습니다.

    디버그창에 아무런 표시가 안됨. (bl1이 삭제되어 U-boot까지 안가는 것 같고, SD카드에 boot file을 

    write하여 SD카드 모드에서 부팅해도 마찬가지 임)


위의 2가지 문제에 대한 고수님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고도리

2013.08.30 13:26:48
*.200.239.210

추천
1
비추천
0

지금 질문으로는 답을 할 수 있는 자료가 없습니다.


1. CPU는요?

CPU에 따라 여러가지가 다 틀려집니다. bootloader서 하는 방법이 대부분일텐데...

eMMC partition size는 적절한 용량으로 fastboot를 처리하는데서 수정하는게 정상입니다.


2. 이것도 비슷합니다만, BL1이란 단어가 있는 것을 보니 삼성칩일 가능성이 있네요.

fastboot 소스를 수정하시면 될겁니다.

전문가가되자

2013.08.31 01:37:43
*.50.20.11

안데일 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ㄷeMMC 4G)

fastboot 소스를 수정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u-boot\common\cmd_mmc_fdisk.c의

#define SYSTEM_PART_SIZE (520*1024*1024)의 값을  예를들면 (780*1024*1024)로 

바꾸면되나요?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eMMC의 MBR이 깨어졌다고하는데 복구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세요.



고도리

2013.09.02 01:32:05
*.200.239.210

답글을 부탁해 놓았습니다.

스노

2013.09.02 22:03:20
*.200.239.210

1. fdisk -c <devid> <system> <userdata> <cache> 입니다.

즉 fdisk -c 0 1024 1024 1024 인 셈입니다. devid 뒤 세 파라미터 미입력 시 소스상에 설정된 값이 사용됩니다.

다만 삼성 소스의 fdisk의 버그로 파티션이 부정확해서 원하는 크기보다 더 크게 주셔야 하고, 미세한 용량 차이로 부팅 후 마운팅 시 마운팅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 설정이 512MB를 사용하기 위하여 520으로 설정한 것이 하나의 예가 될 듯 합니다.


2. MBR과 부트로더까지의 브링업은 무관하므로, 부팅에 실패한 것은 다른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

부트로더 복구 방법은 하기 URL을 참조하여 SD card로 복구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arndaleboard.org/wiki/index.php/WiKi#How_to_use_SD.2FMMC_boot

http://www.arndaleboard.org/wiki/index.php/WiKi#How_to_flash_bootloader_in_SD.2FMMC_to_eMMC

참고로 eMMC로 부팅이 안되는 경우, SD로 부팅하여 eMMC의 부트로더 영역을 지운 뒤 위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3. MBR은 1번과 같이 다시 설정하여 복구하여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08 Process가 dead lock이 걸렸을 때… [1] 어떤이의꿈 2013-09-05 1797
5907 혹시 이런 문제에 대해서 아시나여? QT를 부팅 때 실행할 때 생기... [1] 혜민아빠 2013-09-04 1697
5906 보드에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어할려고 하는데요 [2] pedor 2013-09-04 1614
5905 현재 사운드칩에서 출력되는 음량 세기를 수치로 가져오고 싶습니다. [12] 고로다 2013-09-03 1930
» partition size 저정과 booting 오류 문제 [4] 전문가가되자 2013-08-28 2591
5903 리눅스 질문 : bus 충돌 회피방법 질문 [2] 카보 2013-08-28 1752
5902 종료키 구현 [3] lveritas 2013-08-27 2118
5901 ICS 를 svn에 올린후 다시 다운 받아서 컴파일 하니 에러가...ㅠ... 칼마 2013-08-27 1290
5900 WS-Discovery 관련 오픈소스를 구합니다. blue0sky 2013-08-24 1603
5899 embedded에서 qglwidget에 그림 display [2] 이학남 2013-08-22 1789
5898 period size(period_size) 와 period count(period_count)에 대해서... [1] 김진희 2013-08-20 1713
5897 Kernel 3.8버전에서 TVP5150을 포팅하고 있습니다. [1] 혜민아빠 2013-08-19 1794
5896 괜찮은 ARM9 보드 & 칩 추천해 주세요.. [5] 윤동열 2013-08-14 2324
5895 debugfs_create_file 사용해서 하면 파일 생성이 안됩니다. [1] 시안 2013-08-14 1685
5894 취미를 위한 적절한 수준은 뭐일까요? [6] 바라마79 2013-08-13 1780
5893 linux지원.. 혹시 진전이 없을려나요...@.@; [4] 잉여양파 2013-08-10 1677
5892 QT 고수분들 도와주십시요 [4] 이학남 2013-08-09 1949
5891 android 와 인터럽트 관련질문... [2] 리오살다 2013-08-08 1720
5890 안드로이드의 문제점이 뭐 정도 있을까요? [4] Supsupi 2013-08-08 1625
5889 streamline을 이용해 arndale 보드의 mali-t604를 profiling하려고 합... file [2] 김영준 2013-08-01 1838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