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부팅시 커널로 넘어가질 않습니다.

그런데 이 현상이 랜덤하게 간혹 발생을합니다. 대략 20~30번정도 부팅시키면 한번 발생하는정도.

나머지는 정상적으로 부팅하고 정상적으로 기능들 동작됩니다.


1. CPU : S5PV310 (eMMC 4.5 16GB / DDR3 1GByte)

2. OS : android 4.0.3

3. kernel : 3.0.15


메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OK

U-Boot 2010.03 (Apr 22 2015 - 15:03:53) for SMDKV310 Android

        APLL = 1000MHz, MPLL = 800MHz
PMIC:   ARM 1.30V, INT 1.15V, G3D 1.10V
Board:  smdkv310
MV-DRAM:         1 GB
MMC:    14910 MB
*** Warning - using default environment

In:    serial
Out:   serial
Err:   serial


Checking Boot Mode ... EMMC4.41
board_late_init
Hit any key to stop autoboot:  0
reading kernel.. 1120, 8192
MMC read: dev # 0, block # 1120, count 8192 ...8192 blocks read: OK
completed
reading RFS.. 9312, 2048
MMC read: dev # 0, block # 9312, count 2048 ...2048 blocks read: OK
completed
Boot with zImage
## Loading init Ramdisk from Legacy Image at 41000000 ...
   Image Name:   ramdisk
   Image Type:   ARM Linux RAMDisk Image (uncompressed)
   Data Size:    330347 Bytes = 322.6 kB
   Load Address: 40800000
   Entry Point:  40800000

Starting kernel ...

Uncompressing Linux... done, booting the kernel.


여기까지 콘솔에 메세지를 뿌리고 더이상 부팅이 안됩니다.

간과하기에는 크리티컬한 부분이라 질문드립니다.

경험하신 분들이나,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고도리

2015.07.24 01:47:37
*.200.239.210

디버깅 옵션을 좀 더 넣어봐야 알 내용이긴 하지만 보통 세가지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1. dram이 좀 불안할 경우

2. 전력문제

3. 특정 드라이버가 초기화 안되어서 console 뿌려지기 전에 죽는 경우.


세가지 중에 하나일겁니다.

수위타자

2015.07.24 02:19:24
*.96.252.212

고도리님.. 답변 감사합니다.

dram이 좀 불안한것은 아무래도 Artwork쪽을 의심해봐야 하는게 맞겠죠? 

전력문제는 충분한 마진을 가지고 설계해서 생각안하고 있었는데...

드라이버 초기화 문제하고 다시한번 체크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도리

2015.07.24 16:16:43
*.151.13.64

dram쪽은 아무래도 artwork이랑 전원부분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죠.

의외로 드라이버 초기화 문제일 수 있습니다.


ps> 그런데.....v310으로 개발하세요?....

수위타자

2015.07.24 19:42:33
*.96.252.212

네 감사합니다.

한가지만 더 질문드리겠습니다. 드라이버 초기화 문제라하면..


Uncompressing Linux... done, booting the kernel.


위 메세지 이후에 맨처음에 실행되는 드라이버 초기화 문제가 맞나요?


ps. 네 v310으로 개발중에 있습니다. ^^;



고도리

2015.07.25 08:49:58
*.200.239.210

커널 풀고 console 초기화 이전에 driver들이 초기화 될 때 죽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맨처음은 아닐 수 있습니다. jtag이나 kernel low level debugging기능을 켜서 보시는게 나을 듯 하네요.

수위타자

2015.07.27 20:05:05
*.96.252.212

답변 감사합니다.

하나씩 확인해서 디버깅 해봐야겠네요.

Artwork은 최후에 생각을하고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멀티코어 환경에서 리눅스 IRQ 프로세싱 관련 질문드립니다. [2]

  • Supsupi
  • 2015-03-06
  • 조회 수 241

임베디드 보드 커널에 UDP 통신 설정이 따로 있는가요? [2]

  • pedor11
  • 2016-10-13
  • 조회 수 240

리눅스 디버깅 메세지 [1]

USB2Serial와 /dev/ttyUXB관련 문의드립니다. [1]

커널컴파일 하면 모듈이 어디에 들어가게 되나요? [1]

kernel testing & debugging, J-Link [2]

ppc405ep serial 질문 [3]

  • marmar
  • 2017-04-13
  • 조회 수 235

kernel booting시 다운현상 문의 [6]

cat sys/kernel/debug/gpio, gpio 초기화 질문입니다. [2]

  • k40007
  • 2016-10-01
  • 조회 수 234

안드로이드 소스를 빌드 하였는데, img 파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4]

S5PV210 에서 Overlay Layer적용 [1]

네비바 삭제 질문드립니다.

[안드로이드 서비스 실행관련] [1]

Linux booting message관련해서... [3]

안전모드 진입 [1]

혹시 RouteTable 정보 읽을 수 있는 분 있나요? file [3]

  • 엘카
  • 2016-04-29
  • 조회 수 224

ARM Ubuntu에서 touchscreen 설정

리눅스에서 인터럽트 트랜스퍼의 폴링인터벌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1]

[debian vs ubuntu] [1]

임베디드제품에 안드로이드 앱의 install이 가능한가요 ? [3]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