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작년에 삼성에서 무선 모니터가 나왔는데 윈도우에서만 동작하더라구요.

이런걸 리눅스에서도 동작하도록 자체 개발하려고 합니다

즉 무선 lcd 디스플레이의 리눅스 버전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려고 구상 중인 초보 개발자입니다.

(혹시 오해하실까봐 미리 말씀드리지만, 사업 용도로 까진 생각해본적은 없고 그냥 평소에 만들고 싶었던 겁니다 ^^;)

 

1. 프레임 버퍼를 읽기 위한 mmap 사용, (drivers/fb )

 

2. urb 구조체를 사용하는 usb 전용? read/write API(drivers/usb  )

 

3. 무선 통신을 위한 uwb 드라이버 등.(drivers/uwb )

 

이 세 가지 소스가 이미 커널 소스에 있긴 합니다. 물론 uwb는 역사가 짧아서 그런지 좀 지원되는 디바이스의 범위가 제한적인게 걱정입니다만(인텔정도? 그것도 인텔이 UWB쪽을 포기했다는;;);

 

아무튼 크게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프레임 버퍼를 읽어서 usb 포트를 통해(uwb 송수신 모듈이 usb 동글 형태입니다) 통신으로 uwb 송수신기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외부 수신 하드웨어(모니터)에 전송해줘야 합니다.

 

어차피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하나의 ko파일일텐데, 그럼 저 소스를 만들기 위하여 1~3번의 드라비어 API나 skeleton 파일을 뒤져서 개발해야 하는건가요? 간단한 드라이버 제작만 실습해봐서 막상 시작하려니 막막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제현

2012.01.18 07:00:57
*.90.137.102

아래 링크에 보면 Nexus-One의 USB OTG Host모드를 이용해서 말씀하신 기능과 유사한 것을 만드는 과정이 있습니다.

우선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USB-VGA 카드를 구하고, 그 드라이버를 활성화 한 것입니다.

루팅없이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상업적인 접근은 매우 힘들어 보입니다. 사업 용도가 아니라니 재미삼아 한번 만들어보면 공부는 많이 될것 같습니다.

http://sven.killig.de/android/N1/2.2/usb_host/


이 정도를 포팅할 기술이 되면, 추후 UWB를 이용한 무선 디스플레이도 가능해 보이네요.

Ad_벤처

2012.01.18 07:47:05
*.195.244.7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해보는 데까지 열심히 해보고 결과 보여드리고 싶네요 ^^

고등어

2012.01.18 08:56:47
*.123.98.155

몇년전에 UWB를 사용해서 핸드폰(피쳐폰) 화면을 VGA 급 HMD에 전송하는 것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color space conversion하는 하드웨어가 없어서 소프트웨어로 변환했었지요.

요즘 하드웨어야 빵빵하니까 그런 걱정은 안해도 될것 같네요.

UWB위로 USB, IEEE1394같은 것이 올라가기는 합니다. 그러면 효율이 떨어지겠지요.

그 당시 VGA화면을 그대로 전송했습니다. 아마 30frame인지 15frame인지는 생각이 안나네요.


Ad_벤처

2012.01.19 20:48:10
*.195.244.7

아 친절한 답변 항상 감사드립니다.

 

흠, 지금 소스 보고 있는데, 역시 개념 부터 다시 잡아야 할듯합니다; 대강 알고 보니 어지럽네요 ㅎㅎ

제가 사용할 UWB 모듈은 USB 동글 형태입니다. 흠.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니 헷갈리는게

drivers/usb , drivers/uwb 둘다 있는데 어떤 소스를 봐야 할지; 둘다 보고 두 소스의 api 다 사용해야 할까요?

통신 자체는 무선이니 uwb인데, 연결 형태는 USB라 구분이 안되고 있어요 ㅎ ^^;;

 

아 그리고 디바이스 드라이버 만들고 NDK로 앱이랑 연동 하는 등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보드는

오드로이드 S 사용하면 될까요? (오드로이드 S에서 개발 완료한 APK는 갤S나 갤S2에서 돌아가겟죠?)

 

요즘은 어떤 다른 개발보드 나온게있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 usb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종합하여 만들어야... [4] Ad_벤처 2012-01-18 1583
5487 노드 생성 관련 초보 질문입니다 [5] khyukj 2012-02-24 1583
5486 gcc, g++ 컴파일관련 질문인데요. [1] ice179 2014-06-05 1583
5485 android File 속성 변경 질문 [3] stshyoung 2011-03-29 1582
5484 [질문]2차 보드에서 부팅문제...[완료] [3] 조준동 2007-06-29 1581
5483 kernel panic VFS: Unable to mount root fs on unknown-bloc... [2] 이학남 2009-03-24 1581
5482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java) 에서 커널에 포함된 드라이버 모듈 접... [5] kieslv 2011-01-15 1581
5481 S5PV310 suspend/resume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2] 노쑤 2011-12-19 1581
5480 [질문] 보드에서... USB Device 한영민 2007-06-21 1580
5479 6410에서 busybox로 만든 파일시스템이 포팅이 안됩니다. [2] 월광하백설 2011-12-20 1580
5478 S5PV210 보드 앱 배포 및 디버깅 문의 [2] Mr.PK 2011-11-16 1579
5477 [android] power management [10] wizard14 2013-01-23 1579
5476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만들려고 합니다. [3] 혜민아빠 2012-09-27 1578
5475 [완료] ts_calibrate 에러 [4] 이종현 2007-05-28 1576
5474 uboot 관련 질문입니다 tftp 가 잡혔는데 안넘어가는이유. file [2] 사마사마 2013-05-06 1576
5473 안드로이드 폰 시간 & 설정이 되지 않는데 SIM이 있는 경우에 그... 나론 2011-12-21 1575
5472 블랙박스 설정기능 문의입니다. [1] 강용근 2012-10-13 1574
5471 [질문] directFB 포팅중 tslib 문제;; [3] 최원선 2008-02-28 1573
5470 우분투 리눅스 개발 환경 설정중... [4] 두현택 2009-03-27 1573
5469 커널 디버깅을 하기 위해 printascii()함수를 사용하려면 무슨 head... [1] 혜민아빠 2012-04-10 1573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