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드로이드T 기반으로 H/W,S/W 구성하여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개발했습니다

개발하고 판매까지 거의 1년 정도 흘렀네요 ;;;;;;;;;;;;

문제가 있었는데.......

암튼 이번 기회에 해결하려고 개선 중에 있습니다

대기시(SLEEP)에 소모전류가 90mA 정도 입니다

타 기기 보다 상당히 많이 먹는 상태인데요

C110 으로 개발하신 분들의 제품은 대기모드에서 소비전류가 어느 정도 인가요?

감사합니다

 

 

# 갤럭시플레이어 구매해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확인해보니 1mA 이하였습니다 ㅎㅎㅎ


이제현

2012.05.22 19:27:45
*.90.137.102

4.2Volt Battery 출력 기준으로 4~5mA까지 잡아본적이 있습니다만... 1mA는 넘사벽이네요.. ㅋㅋㅋ

아날로그 하드웨어를 정말 잘 이해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장인정신으로 한땀한땀 해야하죠...

땜철학자

2012.05.22 19:41:28
*.106.171.173

저희도 1mA 까지는 아니여도 10mA~20mA 정도만 되도 좋겠네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고도리

2012.05.22 19:53:49
*.127.19.87

예전 Enspert E301 tablet이 아마도 5mA 이하였을겁니다.

sleep mode에서 엄청 오래동안 battery 유지되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즉, 되긴 된다는 것이죠...^^

땜철학자

2012.05.22 20:26:11
*.106.171.173

얼추 잡았습니다 ㅎㅎㅎ  PMIC(8698) 내부에 쓸데없는 LDO가 살아있네요 ;;;;;;;

고등어

2012.05.23 18:41:25
*.111.41.24

C110은 제대로 다뤄본적이 없어서 뭐라할얘기가 없구요.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 2G + 3G 모뎀 + AP 붙이고 1.3 mA까지 맞추었었지요.


예전에 밥솥을 개발한적도 있었습니다.

그때 액정이 켜진 상태에서 current가 37 uA 정도였습니다.

이길범

2012.05.26 05:48:38
*.65.66.106

10~20mA 수준까지는 필요없는 파워레일 모두 끄고 정리하는 작업으로 구현 가능한 수준입니다.

그 다음은 정확히 모든 포트들 (특히 전원 꺼진 블럭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포트)을 대기모드 진입

이전에 모두 정리해야 합니다. 죽어있는 블럭에 high로 출력이 걸리는 건 당연히 안되고 입력

모드로 정리하되 pull-down이냐 pull-up이냐 확실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죽은 블럭에 연결된 경우는

input pull-down 또는 output low가 맞습니다만 output low의 경우 깨우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으므로 input pull-down이 정확하겠죠.

 

여튼... input floating으로 되는 포트 1개당 1~2mA가 샌다고 보시면 얼추 맞습니다.

 

AP 내부 블럭에 대해 전원을 끄고자 하는 경우 꺼진 블럭과 연결되는 살아있는 블럭과의

인터페이스 포트들도 정리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칩업체와 긴밀히 작업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368 [질문] 3S2442 관련된 질문입니다 [1] 장계석 2008-08-21 556
5367 김재훈님 안드로이드커널 2.6.29이식방법 #2 강좌 해주세요~^^ [1] 김정희 2010-01-28 556
5366 6410 보드용 udev configure [1] 박종범 2010-04-26 556
5365 아주 단순한 쉴스크립트 문의 (2줄) ㅡ_ㅡ [1] 세인트 2010-05-11 556
5364 S5PC100에서 270pin artwork pin map [2] 겔포스 2010-05-24 556
5363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잇힝국대통령 2010-05-26 556
5362 core dump 파일이 생성이 안됩니다. [1] 시안 2010-05-26 556
5361 커널을 .2.6.21에서 2.6.29로 변경한 이후 insmod 실행시 나타나는 ... [1] 허경 2010-05-26 556
5360 suspend mode 에서 빠져 나올 시 brightness 조절 방법에 대해서 ... [1] yally 2010-06-16 556
5359 리눅스 부팅후에 flash 특정 주소에 read/write 할려면? [1] 장트러블탄 2010-06-30 556
5358 odroid-s 게임패드 질문입니다. [2] 이우석 2010-08-02 556
5357 Cache 관련 질문 드립니다.(Win CE) [1] 아저씨 2010-10-16 556
5356 odroid에서 3d쪽은 아직 미완성으로 보입니다. [1] 오영종 2009-11-08 557
5355 s5pc100 에 다른 DDR2 메모리 장착시 고려해야될 사항 문의드립니... [1] 둘리 2009-12-09 557
5354 [완료]mp2530 smp 커널 쓸수 있나요? [2] 황호랑 2008-05-18 557
5353 suspend to ram을 2.6.24에서 진행 중 입니다. debugging 방법은 어... [1] 박영근 2010-02-02 557
5352 커널 2.4.18에서 sd 카드 사용 질문입니다. file [1] 이두광 2010-02-10 557
5351 Odroid-T BOM? [1] 즈믄파 2010-06-12 557
5350 고도리님 IT-SoC아카데미 교육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박수민 2010-07-21 557
5349 v210 audio 출력문제 [3] yama 2011-01-26 557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