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솝 임베디드 포럼의 지식인 서비스가 게시판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삼성 CPU, Linux, Android와 관련없는 일들만 많이해서, 이솝에서 눈팅만 했던 사람입니다.

(대부분 프로젝트를 PXA 계열과 WinCE만 했어서...)

 

예전에 아시는 분이 삼성 CPU(아무래도 2440 이었던 것 같습니다.)를 써서 양산하다 탈(클레임)이 나서,

파산되었다라는 소식을 듣고, 몇년간 삼성 CPU는 고려하지도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니 삼성이 ARM CPU 계열에서는 최고를 달리는 것 같아,

이번에 시작하는 프로젝트를 Exynos 5250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계속 써오신 분들에게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싶습니다.

 

1. H/W 안정화

 : 앞에서 설명드렸듯이, CHIP의 버그로 인하여 아시는 분이 파산되었는데,

  요즘 나오는 Exynos는 어떻던가요?( Critical 버그가 있나요?)

 

2. 자재 수급

 : 제가 진행하려는 제품은 양산을 5년까지 할 것 같습니다.

  Exynos CPU(POP 제품 고려)는 태블릿, 스마트 폰용으로 나온 것 같은데, 5년 동안 Chip을 구할 수 있을까요?

  (Embedded 제품이라 양산 수량은 태블릿과 같은 것 보다 많이 적습니다.)

 

3. Linux Driver 추가 개발

 : 계획중인 프로젝트는 Linux만 올릴 계획인데, 혹시 미포함 Driver가 있을까요?

  (눈팅으로 보니, MFC가 개발해야할 항목 같은데..)

 

감사합니다.

H/W 디자인 엔지니어입니다.

 

삼성의 ARM 칩에 관심이 많아져서 가입했습니다.

 

많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엮인글 :
http://www.aesop.or.kr/index.php?mid=Board_Community_QandA&document_srl=95788&act=trackback&key=6dc

고도리

2012.12.27 04:01:02
*.200.239.210

Samsung 2410/40 시리즈는 꽤(?) 아니면 엄청나게(?) 양산을 많이 했던 모델입니다.

오죽하면 산업용 버전까지 따로 있었을 정도였습니다.....쩝.


1. 모든 칩은 버그가 있습니다. 단, 그것을 피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게 일입니다.

Exynos 계열의 칩도 버그가 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거기에 각종 응용 S/W나 라이브러리에도 버그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은 칩은 많이 사용하는 칩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런 면으로 보면 Exynos 시리즈가 그나마 제일 낫다라고 보여집니다.


참고로, 저는 Freescale의 ARM based SoC는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저도 말씀하신 것과 같은 경우를 많이 봤었기 때문이고, 저도 실제로 한번 당했었기 때문입니다.


어느 칩이나 비슷하겠지만, Exynos칩들도 양산까지 가려고 하면 쉽지는 않습니다.

근래 Exynos4210 Single chip인 S5PV310을 가지고 양산하는데 1년 3개월 정도가 걸렸습니다.


큰 버그 몇개 때문에 꽤 오래 걸렸습니다.


2. 수급은 누구도 장담하기 힘듭니다.

현재는요....


수급 보장을 받으시려면 Freescale 혹은 TI 것을 찾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이 회사들의 주력이 주로 차량/방산용이기 때문입니다. 대략 5년정도 이상은 보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TI의 OMAP line-up의 포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시장 경쟁에서 밀리게 되면 어쩔 수 없을 것라고 보여집니다. Samsung chip의 경우는 근래 단말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기간동안 양산이 이루어지지는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추가 개발이라기 보다는 공개된 소스(ex> MFC)를 가지고 일반 리눅스용으로 용도에 알맞게 포팅하는 경우가 더 많을 거라고 보여집니다.


미포함 디바이스 드라이버로는 가끔 칩에 따라 SPI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포함되어 있고, 대신 사용법이 Android 외엔 공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코드를 리눅스용으로 정리하는게 훨 일이 많습니다.



카보

2012.12.27 07:15:27
*.172.65.17

FreeScale도 그런 경우가 있었군요..

그러고보면, 항상 새로운 칩은 버그를 가지고 있죠.

뽑기를 잘해야 할텐데..

 

답변 감사합니다.

 

 

한가지 더 질문있습니다.

제가 진행하려는 프로젝트에서는 Linux를 올려야하는데,

Howchip에 연락하니, Linux를 13년 1Q에 제한적으로 배포를 한다고 하네요.

만약 제가 배포되는 Linux를 기다리지 않고, Android를 Linux로 변형해서 쓴다면

엄청 어려워질까요?

아님 차라리 프로젝트를 Android로 올리는 것이 건강에 좋을까요?

관리자

2013.01.02 11:05:13
*.111.12.170

어떤 목적이냐에 따라 틀릴텐데....


Linux or Android 를 결정하라고 하면 저는 지금은 android 쪽입니다.


플랫폼 개발은 android가 어렵습니다. 버그 잡기도 쉽지 않고요.

app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android는 개발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solution면에서도 이래저래 잘 알아야 하는 것들이 필요하고요.


대신, 유지보수가 나름 괜찮습니다.

OTA와 같은 툴도 있고, database 들도 있고요....


일반 리눅스도 비슷하게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곳도 있겠지만, 유지보수라는 측면은 android가 확실히 유리합니다.


Linux는 현재 개발중에 있습니다. 1월 초면 대략 어느정도 윤곽이 나올 듯 하고요.

다만 Exynos5서부터는 완성도를 높이기가 꽤 어려워서 고민입니다...


일반 Linux도 Android 커널을 사용하면 큰 문제 없습니다.

저도 그렇게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기능만 menuconfig에서 제거하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1. 개발인원과 android에 대한 지식이 많다면 ---> android

2. 관련 resource가 적고, 기존 Linux에 대한 경험이 있다면 ---> Linux

3. 둘 다 아니다....면....ㅎㅎ, ---> 전문가 집단이 필요...


정도가 될 듯 합니다....^^

카보

2013.01.03 01:28:15
*.47.250.61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전문가 집단 필요"라는 말에 멍해지네요..

고도리

2013.01.03 07:56:56
*.200.239.210

쩝....안드로이드의 경우 근래 버전은....플랫폼 전문가만 10명 정도 필요한 듯 합니다.


물론, 초고수급들은 몇명이서 되겠지만, 근래는 해야할게 너무 많아서 플랫폼 전문가(UI관련 빼고)

들이 꽤 많이 필요합니다.


Linux라면 좀 수월할텐데...그래도 몇 명이 필요합니다.(응용에 따라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668 NAND flash 에서의 XIP ? [5] 유형목 2007-05-17 815
5667 [질문] CD롬을 제거하면 부팅이 안된다...?!!! 이런 경우 보신분 ... [6] 임장욱 2007-05-17 3142
5666 [완료]] SDL 폰트에 관한질문 [3] 문철민 2007-05-17 756
5665 [질문]SDL display부분에 대해서 질문요... [5] 이태간 2007-05-17 802
5664 (요청)터치칩 구할 수 있을까요? [1] 문진호 2007-05-18 2446
5663 [완료] 이솝 3차보드와 JTAGProbe 로 디버깅 하시는분~ [2] 이재명 2007-05-18 1016
5662 [완료] 이솝 3차보드의 메모리맵은 어떻게 되나요? [2] 이재명 2007-05-18 771
5661 [완료] 완전 초짜의 질문 GPIO는 어디서 뽑을지.. [3] 오주열 2007-05-18 2839
5660 염치없지만 PCB DATA 파일을 공개하실수 있나요 [2] 정인수 2007-05-18 3784
5659 [완료] 2440 시리얼통신.. [2] 김민철 2007-05-19 857
5658 [질문]LAN91x 커널 패닉(S3C2440/2.4.20 커널) [4] 김현기 2007-05-19 1185
5657 [완료] 윤덕배님~ H-JTAG 질문 하나 있는데요~ [2] 이재명 2007-05-19 1048
5656 [완료]아래 케이스공구건 어떻게 된건지요? [1] 최재혁 2007-05-19 714
5655 [완료] USB slave [2] 김증일 2007-05-19 2445
5654 [질문]lx vga driver 관련. [2] 류영렬 2007-05-19 2529
5653 [완료]makefile 질문입니다. [3] 서두원 2007-05-21 878
5652 [질문] 동영상 재생시 너무 느립니다. [4] 강덕하 2007-05-21 3078
5651 [질문]memset, mmap, memcpy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5] 이태간 2007-05-22 44947
5650 [완료] Slackware 11.0 어디서 구하나요... [2] 김영곤 2007-05-22 2510
5649 [완료] 제온 서버 사용 가능 여부 [2] 김유석 2007-05-22 869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