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및 비회원 모두 열람이 가능합니다. 최대 업로드 가능한 용량은 20MB 입니다.

한국에서 GPL 로 소스를 개발해서 사업화로 성공한 경우가 있는지가 궁금하구요 ?

 

GPL 로 소스를 개발해서 사업화는 어떤식으로 해야 하는지도 약간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

 

사업화가 가능하다면 개발한 소스가 GPL 을 획득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도찬구

2010.02.12 10:31:11
*.206.140.154

제 주관적인 관점입니다.


GPL로 된 프로그램이 주가 아니고 솔루션이 주가 되어야 시장성이 존재할 겁니다.

문제는 GPL이 사용된 프로그램이 솔루션에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면 견제에 대한 대비도 있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에서 GPL을 사용하면서 성공한 사례는 흐음. 찾아보기 힘들고 어쩔 수 없이 GPL을 유지하는 업체들은 있습니다. GOM플레이어가 그나마 성공한 사례라고 봐야겠고요. 솔루션 쪽으로 성공을 했지 성능 등에 의한 성공은 아니었고 파생되는 프로젝트도 없는 의미도 없는 GPL이죠. GPL이긴한데 GPL같지 않은 프로젝트죠.


개인적으로 GPL이라면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무언가가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국내 시장에서 그런 형태를 갖고 있으면서 상용화된 것은 못 봤습니다.


제 생각에 국내 시장만을 목표로 한다면 GPL은 접어 두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시장이 작아서 금방 포화가 되기 때문에 소스 공개는 적을 부를 뿐이라고 판단됩니다.

어느 정도는 국외로 눈을 돌렸을 때나 GPL을 이용해도 성공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만....



GPL을 이용했기 때문에 GPL로 소스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GPL을 사용하시지 마시기를 권하고 싶고요. 사업화를 꾀하시려면 리눅스 배포판들 처럼 컨설팅을 이용한 사업화가 가장 이상적으로 판단됩니다.



GPL 획득은 무척이나 쉽죠. GPL명시와 GPL전문을 같이 배포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NU에 별도 등록을 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GPL로 사업을 하시려고 한다면 생각하시고 계신 사업이 앞으로 계속 발전해 나갈 미래가 보이고 여러 사람이 참여할만 하다고 생각되실 때에 GPL로 가시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GPL이 만들어진 취지가 소프트웨어의 빠른 진보를 위해서 였기 때문에 정체된 프로젝트가 GPL로 열려봐야 소스만 공개되어 사업화에 실패로 이어질 뿐입니다.


또한 한번 GPL이었던 프로젝트 GPL에서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여러 사람의 개발 노하우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을 위해 만든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GPL을 표명한 프로젝트를 일부에서 맘대로 다른 형태의 라이선스 정책을 이용해서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것을 막기 위해 GPL은 다른 라이선스와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LGPL의 경우 GPL에 대해서 하위호환을 하지만 GPL의 상위에 있을 수는 없습니다.)

김진

2010.02.12 11:22:46
*.132.210.253

http://ffmpeg.org/shame.html 에 보면 gom player 도 올라가 있죠... 

kmplayer도 올라가 있구요...

확실한 내용은 모르지만 갖다 썼으면서 공개안했다 의심해서 올라가 있는거 아닌가요?

GPL 안따랐다는 이유로...

ffmpeg 라이선스가 GPL인지는 확인 안했습니다...

도찬구

2010.02.12 22:21:42
*.206.140.154

ffmpeg는 GPL과 LGPL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내부적으로 GPL코드를 사용했을 경우 GPL로 라이선스되고 GPL을 배제할 경우 LGPL로 라이선스 됩니다.


FFMPEG를 썼다고 GPL을 썼다는 것이 되지는 않습니다.

뭐 문제는 KMP와 GOM 둘 다 제대로 GPL인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것에 있습니다. LGPL이면 아예 LGPL 형식을 띄어야 하는데 어중간하고 나름 꼼수라고 지들 멋대로 GPL을 해석해서 문제가 있습니다.

웃긴 건 GOM의 경우엔 그래도 눈치가 보였는지 호출부만 공개를 해 놨는데.. 무척이나 웃긴얘기죠. 나름 핵심 코드가 GPL인데 그 따위로.. 사용했다니 말입니다.

KMP는.. 에휴.. 그러려니 합니다.

도찬구

2010.02.12 22:27:01
*.206.140.154

참고로 GPL을 호출하는 프로그램도 GPL이어야 합니다. GPL을 어느 한군데 사용하면 GPL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GPL을 플러그인으로 빼고 기본적으로 다른 라이선스를 쓰고 사용자에 의지에 따라 GPL을 사용하게 되지 않는 이상 GPL을 따라야 합니다.


리눅스 배포판들은 GPL과 LGPL, BSD가 산재 되어 있음에도 GPL이라고 부르지 않는 이유가 플러그인 형태로 구현이 되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것이기에 문제가 없지만 GOM이나 KMP는 처음부터 사용자의 선택은 없죠.(환경설정에서 설정할 수는 있지만.. 원래 취지와 다릅니다.)

김경민

2010.02.13 15:18:30
*.189.97.177

단순한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에서는 큰 효과는 없고, 복잡한 프로젝트, 특히 관리가 무진장 어려운 경우라면 유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자체는 그냥 제공하는 대신 유지 보수 비용으로 먹고 사는것이죠.

물론 GPL 프로그램도 판매할 수 있지만, 소스 코드를 제공해야 하고, 제공받은 소스 코드는 마음대로 배포가 가능합니다. RHEL의 무료 버전인 CentOS가 그런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관리가 편하거나 인터페이스가 단순하면 유지 보수를 요청받을 가능성이 적기에 복잡한 프로젝트가 유리합니다.

또는 소프트웨어는 덤으로 끼워주는 케이스(고가의 하드웨어 판매 시 등등)에 적용이 가능하겠지요.

플랫폼 전문 업체라면 해당 플랫폼의 사용자(개발자?)를 늘리기 위한 개발 지원용에 적용하는 방법도 있고요.


결론을 말하자면 프로그램 하나로 끝나는 경우라면 금전적인 이득을 얻기 힘듭니다.

무언가 다른 목표를 위한 보조적인 용도로 쓴다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만요.

프로그램의 대가 없는 완전 공개와 외부 개발 리소스의 자유로운 활용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면서 선택하시면 될겁니다.

고현철

2010.02.14 00:55:13
*.133.21.204

일단 프로그램 하나에 대한 것이므로, 여러 실행화일이 존재하는 배포판일 경우는 상관이 없습니다.

 

GPL인 녀석에 대한 소스만 받을 수 있는 방법만 명시해 주면 되고요.

 

문제는 GPL을 써서 상용화 했다면 공개해야 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상업적으로 성공하기는 힘들지만

가끔....GPL 소스를 썼는데도, 공개 안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ffmpeg의 경우는 GPL/LGPL 둘 다 가지고 있지만, 코덱부분을 따지면 LGPL입니다.

해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는 케이스죠

 

GOM의 경우는 메인 알고리즘을 따로 구현한 케이스로 보여지니 큰 문제는 없지만

KMPlayer의 경우는 확실히 mplayer의 알고리즘과 여러가지 GPL library들이 섞여 있는 software입니다.

 

daum pot player도 마찬가지죠. 제작자가 같고, 알고리즘도 동일한 듯 해 보입니다.

 

특히 a/v sync algorithm ............

reverse engineering의 대가 정도로 보여지지요. ....................

 

해서 결론을 말씀드리면, 돈 많고 소스 공개 안하고 binary에서 추적할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한다면

closed로 해 놓고, 입 싹 닦아도 된다는 얘기입니다.

 

밝혀내려면 그만큼 시간 들여야죠.....

 

1. 최대한 쓰지 않는게 좋고

2. 써야한다면 안걸리게 쓰자는 얘기입니다.......ㅎ

이길범

2010.02.15 18:42:16
*.168.204.56

원래 애시당초 GPL이라는 것이 상업화/비지니스에 매우 불친절한 라이센스일 뿐입니다.

 

해서 나름 역량이 되는 MS나 애플의 경우엔 GPL보다 BSD를 선호하죠.

 

실상, 모바일 운영체제를 하나 새로 만든다고 할 때, 필요한 것들이 엄청 많지만, 실제로

매우 어렵고, 구현하는데 수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이 개발 툴체인과 커널이 될겁니다.

 

그 외에 각종 라이브러리, 유틸리티, 미들웨어등등...

 

여기서 커널은 리눅스가 아닌 이상  꼭 GPL이어야 할 필요도 없지만 툴체인은 쉽지 않죠.

하지만 그래도 GPL라이센스의 산출물중 그래도 그 응용에 가장 폭넓게  GPL외로 풀어준

것이 그나마 gcc입니다. 적어도 gcc로 컴파일된 바이너리에 대해 GPL을 강요하지는 않죠.

만약 그것마저 강요했다면 MS, Apple외 대다수 GPL 우호적이던 기업들이 쳐다도 보지

않았겠죠...

 

좌우지간, 위에서 언급한 두 회사는 참으로 Open Source의 산출물을 라이센스상 곡예를

타면서 적절히 활용하면서도 결정적인 부분에서 내재화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와 BSD커널 기반에 철저히  GPL배제한 시스템 구현에 있어

후자가 훨씬 많은 리소스 투입을 요구하지만 사업적으로는 완성한 후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죠...

 

개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1. GPL은 공짜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면 그 덫에 반드시 걸린다.

2. GPL을 만들어낸 RMS의 사상은 공산주의는 아니지만 초기 사회주의 사상에 가깝다.

3. 조금 부족하지만 Non-GPL의 것이 있다면 적극 찾아서 활용방안을 찾아보자.

 

이렇습니다...^^

고현철

2010.02.15 22:04:20
*.202.141.234

GPL이 참 웃기는 라이센스인게 머냐 하면.........

 

완전 Free인 BSD를 GPL이란 라이센스를 넣어서 다시 개발한 케이스이기 때문이죠.....ㅎㅎ

GPLv3때 토발즈와 FSF가 다툼이 있었던 얘기도 마찬가지고요....

 

NetBSD로 가야한다라고 아직도 생각하고 있지만, 밥줄은 그게 아니니........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교육 홍보 및 광고는 "교육 및 세미나 홍보" 게시판을 이용해 ... 관리자 2010-07-15 108005

[잡담] 회사에 새로 두분이 들어왔는데... [1]

아 장**/윤**/한**/홍** 이 요기 잉네~ [10]

  • PotA
  • 2010-02-02
  • 조회 수 3250

아... 간만에 왔더니 ODROID가.. [4]

[잡담]BU6521KV - ROHM - VIDEO - ENCODER file [2]

USB Host controller 추천부탁드립니다. [2]

  • gudrl
  • 2010-02-03
  • 조회 수 3915

Android 2.1 eclair를 S3C6410에 포팅을 하면서.... [4]

지금 제일 갖고 싶은 Android 책.. [48]

삼성, 국내용 안드로이드폰 발표, 3월 출시예정. file [9]

ODROID Eclair 2.1 포팅 중간 결과~~ file [7]

기판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7]

Running Debian on a Samsung Galaxy under Android

LCD데이터시트 RGB패턴 이해

Android NDK 관련 책 하나 추천.. [1]

잡담..Cafe에서 안드로이드 소스를 보며.. [3]

GPL 로 소스를 개발해서 사업화하려면 ? [8]

텔레칩스와 삼성 CPU 의 H.264 Codec 성능이 어떤가요 ? [1]

기다리던 중국에서 책이 왔습니다. [12]

인텔과 노키아의 동맹. file [2]

Ubuntu 9.10 on ODROID file [10]

iPhone 3GS 와 Google Nexus One 3D 성능 비교 [3]

사용자 로그인